11일 새단장 오픈식…대구‧경북 거점 도서관으로서 비전 선포
경북대 중앙도서관이 예술과 문화, 첨단 ICT 기술이 어우러진 복합문화공간으로 대변신한다. 대학 도서관 특유의 닫힌 공간이 아니라 미술관이나 카페에 온 듯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새 단장한 도서관은 열람관인 신관 1층과 자료관인 구관 1층을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하면서 연면적이 6천177㎡(약 1천870평) 규모로 넓어졌다.
ICT 기반의 학습 및 연구 공간은 물론 북갤러리, 카페테리아, 세미나·전시 공간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사업비 45억원이 투입됐으며, 사업비 중 일부는 도서관 리모델링 기금 네이밍 사업을 통해 조성됐다.
도서관은 크게 4개 구역으로 나뉜다. ▷온라인 강좌와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유-라운지(U-Lounge)' ▷북갤러리와 독서토론룸, 젠가형 마루 등 책과 함께하는 커뮤니티 공간인 '비-존(B-Zone)' ▷스터디룸과 창의마루, 스마트기기존과 함께 휴식공간인 카페테리아, 쉼터마루 등이 있는 '에스-라운지(S-Lounge)' ▷ PC, 노트북 등 IT기기 이용과 그룹 및 개인 학습 공간을 갖춘 '아이-존(I-Zone)'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아이-존'은 대학 구성원은 물론 지역 주민들에게도 개방, 평생학습뿐만 아니라 주민 커뮤니티 활동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1982년에 건립된 경북대 중앙도서관은 2000년과 2017년 증축한 바 있다. 330만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이는 전국 대학 중 세 번째로 많다. 연간 대출 책수는 25만권, 이용자 수는 150만명에 이른다.

한편 경북대는 오는 11일 오후 2시 도서관 1층 중앙라운지에서 '대구·경북 거점 도서관 비전 선포식'과 '중앙도서관 새단장 오픈식'을 개최한다. 대학교육과 연구지원 핵심기관의 역할은 물론,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역사회 지식정보센터로서 교육·문화시설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담는다.
김강욱 경북대 도서관장은 "ICT기반의 자유로운 학습 및 연구가 가능하고, 활발한 소통과 협업, 휴식과 다양한 문화체험을 공유하는 새로운 개념의 지식창조공간으로 거듭난다"면서 "도서관이 보유한 인적·물적 자원을 지역사회에 개방해 지역사회 교육 및 문화 발전을 견인하는 지역 거점대학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