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노주 경북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2·28 민주운동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후 두 번째 기념일이 다가오고 있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지역 8개 공립학교 학생들이 "학원을 정치 도구화 하지 말라!"는 구호를 외치며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부정부패에 맞서 분연히 일어났다.
경북고에서는 학생들의 의기가 달아오르자 학생부위원장 이대우와 학생위원 안호영이 단상에 올라 "인류 역사 이래 이런 강압적이고 횡포한 처사가 있었던고"로 시작하는 결의문을 선언하고 교문 밖으로 진출하였다. 매일신문사, 경북도청, 도지사 관사로 나아가 결의문을 재차 선언하고 자신들의 주장을 호소하였다. 나머지 일곱 개 학교에서도 시간, 경로, 학생 수에는 차이가 있지만 똑같이 궐기하였다.
조동걸(1997)과 윤순갑(2000)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2·28 민주운동은 시대의식을 반영한 이성적 운동이며, 여러 학교가 동시에 궐기한 조직적 운동이고, 부정선거와 독재에 항거하는 목적이 분명한 의거였다. 나아가서 2·28은 3·15 마산의거의 배경이 되었고 4·19 혁명의 꽃을 피움으로써 대한민국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그렇다면 왜 하필 대구에서 2·28 민주운동이 일어났는가? 2·28의 배경으로 꼽히는 이승만 정권의 부패, 독재정권의 강권적 억압, 경제 불황과 토지개혁 실패 등은 남한 전역에 해당되는 사항이다. 따라서 대구와 2·28의 개연성을 설명하기엔 부족한 점이 있다. 오히려 대구가 지닌 역사성, 영남인이 지닌 역사의식 속에서 그 원인을 찾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신라시대부터 지금까지 영남은 한민족의 정신세계를 주도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라 원광(경주 출생)은 전쟁에서 두려워하지 않고 물러나지 않는 정신을 강조했고, 원효(경산)는 모든 대립적인 논쟁과 갈등을 화합과 조화로 바꿀 수 있음을 설파했다. 이런 정신들이 삼국통일과 단일민족개념 형성에 밑거름이 되었다.
여말선초엔 절의(節義)의 대명사이며 성리학의 비조(鼻祖)인 정몽주(영천)가 있었고, 조선 성리학의 학맥은 길재(구미), 김숙자(선산), 김종직(밀양), 김굉필(달성), 정여창(함양), 이언적(경주)을 통해 이어졌으며 이황(안동)에 이르러 사물과 사태의 본질 및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는, 그래서 불의에 비타협적인 학풍을 꽃피웠다.
근대에 와서 최제우(경주)는 동학을 창시했고, '사람이 곧 하늘이다'라는 그의 인내천 사상은 사회 모순에 저항하고 인간을 존중하는 사상을 심어 주었다.
이처럼 영남의 사상적 전통은 영남이라는 지역을 넘어 민족사상의 큰 물줄기를 형성해 왔다. 이런 정신적 근간(根幹)이 역사의 고비마다 영남이 앞장섰던 이유이고 영남의 중심인 대구에서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운동이 일어났던 까닭이다. 선조들이 각각의 시대 상황에서 처절하게 고민하여 시대의 물줄기를 바꿨듯이 59년 전의 선배들도 독재정권의 불의에 고뇌하고 맞서 한국현대사를 바꿨다.
그런데 현재 대구의 모습은 어떠한가? 노력 없이 상속받은 '보수의 심장'이라는 브랜드에 취해 선배들이 지녔던 문제의식, 역사의식 그리고 엄한 도덕성에 바탕을 둔 진취적 기상을 망각한 것은 아닌지 돌아볼 일이다. 2·28 민주운동 59주년을 맞아 영남인 본래의 정신적 유산과 가치를 고양시킬 때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