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경찰청 지자체별 교통사고 통계…광주·강원·부산·경기 감소
올해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지난해보다 10%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역별로 광주, 강원, 부산 등에서는 사망자가 감소했지만, 울산, 대전, 인천 등에서는 오히려 증가해 지역별로 편차를 보였다.
9일 국토교통부와 경찰청은 올해 1∼11월 지방자치단체별 교통사고 현황과 지난해 지자체 교통안전시설 개선 추진실적을 공개했다.
올해(11월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3천443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되었다.
정부가 올해 1월 발표한 교통안전종합대책에서 역점을 두고 관리 중인 보행자 사고 사망자는 1천318명으로 작년보다 12.7% 감소했다.
보행사고 사망자가 급증하는 9∼11월 3개월간 교통사고 사망자는 1천5명으로 작년보다 17.5% 줄었고, 이 기간 보행 사망자는 22.6%(514명→398명) 감소했다.
국토부는 "보행자 사고를 줄이기 위해 3천여개 횡단보도에 투광기 4천198개, 보행자 방호 울타리 2천815개 등 안전시설을 설치하고 가로등 점등시간을 연장하는 등 노력을 기울인 것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는 광주가 작년보다 34.9% 줄어들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강원(-20.7%), 부산(-17.5%), 경기(-17.0%), 대구(-16.8%), 전남(-15.0%) 등도 교통사고 사망자가 감소했다.
반면, 울산은 지난해보다 오히려 교통사고 사망자가 34.0% 증가했다. 대전(+11.4%), 인천(+10.1%), 제주(+2.7%), 충남(+0.9%) 역시 교통사고 사망자가 증가했다.
보행자 사고의 경우 강원(-35.7%), 광주(-32.3%), 충북(-32.0%), 전북(-31.3%)이 30% 이상 크게 감소했고, 경남(+22.6%), 울산(+20.8%), 대전(+16.2%), 충남(+15.5%)은 10% 이상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는 작년보다 32.0% 줄어 전반적으로 크게 감소했다. 그러나 지역별로 보면 경기, 서울, 인천 지역은 오히려 증가해 사고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는 전체적으로 6% 줄었지만, 지역별로 보면 울산(+120.0%), 대전(+40.9%), 충남(+28.9%) 등은 오히려 크게 증가했다.
지난해 교통안전시설 개선 실적은 강원도가 인구 1천명당 관련 시설 투입 예산이 2억68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가 80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대구광역시는 전체 사업용자동차 운전자 가운데 74.3%에 대해 안전교육을 실시했고, 경기도는 전체의 0.1%에 대해서만 교육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