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서 호평받는 새마을 사업 날개 꺾였나? 탄력 붙나?

입력 2018-11-22 06:30:00

UN과 국제사회는 새마을운동을 국제개발협력의 모델로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사업으로 높이 인정하고 있다. 2016년 열린 UN NGO 컨퍼런스 당시 새마을특별세션이 진행되는 모습. 경북도 제공
UN과 국제사회는 새마을운동을 국제개발협력의 모델로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사업으로 높이 인정하고 있다. 2016년 열린 UN NGO 컨퍼런스 당시 새마을특별세션이 진행되는 모습. 경북도 제공

유엔(UN)과 유네스코 등 세계가 인정한 새마을운동과 사업이 정작 '친정'인 한국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새마을운동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창안하고 심혈을 기울였는데다 제2의 새마을사업을 많이 펼친 박근혜 전 정부의 '유물'이라는 주홍글씨 탓에 진보 정권을 자임하는 현 정부 출범과 함께 상대적으로 홀대 받고 있어서다. 4면

새마을사업은 현 정부 들어 국비가 투입되는 사업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정도로 쪼그라들었다. 한해 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경북도를 빼면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단발성 사업이 전부일 정도로 겨우 그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경북도의 새마을사업도 위축되고 있다. 올 들어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지원마저 대폭 줄어 새마을사업의 꽃으로 통하는 해외 사업이 줄줄이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 코이카 새마을해외봉사단 파견은 새마을 해외 사업의 생명줄이나 마찬가지다.

경북도에 따르면 2015년 59명에 달했던 코이카 해외봉사단은 문재인 정부 1년 차인 지난해에 12명으로 줄었고 올해는 3명으로 곤두박칠 쳤다. 이마저도 내년부터는 경북도와 코이카의 업무 협약 종료에 따라 파견 사업 자체가 사라진다.

코이카는 지금까지 해외 봉사단원에게 항공료부터 현지 적응 교육비, 체류비, 교육비 등 모두 220억원을 지원했다. 이에 힘입어 경북도는 15개국에 50개 새마을 시범마을을 조성했으며, 봉사단 1천310명을 파견하고 외국인 지도자 5천979명을 연수시키는 성과를 냈다.

경북도 관계자는 "해외 시범마을 조성을 위한 핵심 인력인 코이카 봉사단의 지원 없이는 해외 새마을사업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새마을 운동에 힘을 실어주면서 돌파구가 보이기도 한다. 문 대통령은 이달 8일 포항에서 열린 한-러 지방협력포럼에 참석해 이철우 경북도지사와의 단독 면담 자리에서 "새마을 이름을 바꾸지 말고 새마을 해외사업도 계속하라"고 독려한 바 있다.

경북도는 문 대통령의 '새마을 연속성' 발언이 새마을사업의 새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우선 올해 종료되는 '경북도-KOICA 새마을 해외봉사단' 파견 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또 새마을운동 종주 지자체인 경북도의 경험과 노하우를 국제사회와 공유하기 위해 제안한 '세네갈 옴보로비란 새마을 시범마을 사업'과 각종 연수 공모사업 등 새마을 세계화 사업에 국비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상우 새마을세계화재단 사업팀장은 "대통령께서 새마을운동에 큰 힘을 실어 주면서 경북도가 일궈왔던 새마을 세계화 사업 등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