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방송 인터뷰서 "北 핵공격 논의한 적 없다…비핵화 약속 지키게 할것"
"北도 중거리미사일 만든다…INF 당사국이라면 조약 위반에 해당"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두 번째 정상회담이 내년 초에 열릴 것으로 내다봤다.
볼턴 보좌관은 이날 러시아 라디오 방송인 '에코 모스크비'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은 아마도 김 위원장을 새해 1월1일 이후에(probably after the first of the year) 다시 만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백악관이 북미정상회담의 내년 초 개최 가능성을 공개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로이터 통신이 19일 익명의 미 행정부 고위 관리를 인용해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시기가 내년 1월1일 이후가 될 것 같다고 보도했지만, 실명으로 이 내용을 확인하거나 공식 발표한 적은 없었다.
이런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0일 네바다 주 유세에서 북한 문제와 관련해 "잘 될 것이다. 서두르지 말아라"고 언급한 것과도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간인 지난달 26일 북미 비핵화 협상 시한과 관련해 "시간 게임(time game)을 하지 않겠다"며 속도조절론을 공식화한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 내 '슈퍼 매파'로 불리는 볼턴 보좌관은 '미국이 작년 북한에 대한 핵공격 아이디어를 논의한 것이 사실인가'라는 질문에는 "아니다. 절대로 아니다"라며 강하게 부인했다.

이번 러시아 방문의 주된 의제 중 하나인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 파기 논란과 관련해서도 중국과 더불어 북한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 냉전 시대 군비경쟁 종식의 상징인 INF는 사거리 500∼5천500㎞인 중·단거리 탄도·순항미사일의 생산과 실험, 배치를 전면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볼턴 보좌관은 "(INF는) 러시아와 미국에 적용되는 조약인데 지금은 이란, 중국, 북한 등의 나라들도 중거리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을 생산한다"면서 "미국과 러시아만 양자 조약에 묶여있고 반면에 다른 나라들은 여기에 구속되지 않는 이상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날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와의 인터뷰에서도 "세계에서 INF 조약에 얽매인 나라는 두 곳뿐인데 그중 하나인 러시아는 조약을 위반하고 있다. 이는 조약에 얽매인 유일한 나라가 미국뿐이라는 말"이라며 "받아들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중국, 이란, 북한은 만약 조약 당사국이었다면 위반에 해당하는 전력을 개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중국에 대해 "중국의 위협은 매우 현실적인 것으로 일본, 한국, 대만, 호주와 같은 나라들에 그들이 중국의 전력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그들이 얼마나 불안해하는지를 물어볼 수 있다"고 언급했다.
볼턴 보좌관은 INF 논란의 다음 수순으로 "유럽과 아시아의 친구들과 협의하고 러시아와도 추가 협의를 할 것"이라면서 "다가오는 몇 달 동안 많은 외교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