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휴양원(가칭)' 건립 10년 만에 재시동

입력 2018-09-27 17:21:37 수정 2018-09-27 20:08:31

경북도 2005~2008년 추진하다 부정적 여론에 좌초

경상북도가 '경상북도휴양원'(가칭) 건립에 다시 시동을 건다. 이는 도민과 공무원의 심신단련 및 지식 재충전,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이다.

2005~2008년 영덕군 일대 부지 매입까지 마쳤다가 과도한 운영비 등을 이유로 경북도의회가 반대해 사업을 보류한 지 10년 만이다.

27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는 도청 공무원 휴양시설 마련을 위해 2005년 5월 부지 매입 계획을 수립하고 그해 12월 영덕군 병곡면 덕천리 일대 2만7천281㎡의 임야를 샀다. 이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연구용역을 진행해 지상 10층, 지하 2층, 연면적 1만여㎡의 건물에 객실(72개), 사우나실, 강당 등을 갖춘 휴양원 건립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하지만 2006년 10월 경북도의회 상임위에서 실시설계비 9억5천만원이 전액 삭감되면서 제동이 걸렸다. 연간 20억원 이상이 드는 운영비와 각종 공공기관, 공무원교육원 이전 계획 등으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형성됐기 때문이다. 이듬해 다시 12억8천600만원 규모의 실시설계비를 편성했지만, 역시 도의회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했다.

도는 2008년 대구시와 손잡고 '대구경북 종합연수원'을 건설하는 방안까지 검토하며 활로를 모색했으나 대구시도 비용 부담과 부정적 여론 등으로 참여에 난색을 표했다.

이후 10년 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휴양원 건립 사업이 올해 들어 다시 고개를 든 것이다. 영덕군 부지를 장기간 내버려둘 수 없는 데다 '워라벨' 시대를 맞아 도청 공무원 복지를 위한 휴양원이 필요하다는 내부 목소리도 적지 않아서다.

이에 도는 계획을 전면 수정해 과거와 차별화된 휴양원 건립 방안을 마련한다. 공무원만 이용하는 휴양원이 아니라 도내 노인, 여성 등 도민에게 개방하는 공간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교육시설도 마련, 각종 교육·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건립 부지 역시 기존 덕천리 외 영덕군 고래불해수욕장 인근 도유재산을 모두 조사해 주변 수련시설 등과 연계한 최적지를 찾는다.

과거 직영을 통한 과도한 운영비가 부담이었던 만큼 이번에는 지방행정공제회 등 전문기관에 위탁 운영한 뒤 기부채납 받는 방식을 검토한다. 또 도내 시·군의 참여를 유도, 사업비를 보태도록 한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도는 이 같은 계획을 구체화할 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수립을 위해 내년에 연구용역을 시행할 방침이다. 이를 위한 예산 5천만원을 편성했다.

10년 전과 달리 경북도의회의 반응은 일단 긍정적이다.

장경식 경북도의회 의장은 "도청과 각 사업소 등에서 일하는 직원이 상당히 많다. 이들을 위한 휴양 공간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면서 "과거 영덕군에 휴양원 건립을 추진하다 중단돼 있어 지역 주민은 사업의 재추진을 원한다. 도가 사업에 재시동을 건 만큼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