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아베, 자민당 총재 3연임 성공…'전쟁가능 국가' 개헌 나선다

입력 2018-09-20 16:18:38

"헌법 개정에 매진해 나가겠다"고 '개헌 의지' 재확인
2021년 9월까지 총리 맡아…내년 11월이면 역대 총리 최장기 재임 기록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0일 도쿄 자민당 본부에 열린 차기 총재 선거에서 승리한 뒤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0일 도쿄 자민당 본부에 열린 차기 총재 선거에서 승리한 뒤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베 신조(安倍晋三·63) 일본 총리가 20일 열린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이시바 시게루(石破茂·61) 전 간사장을 큰 표차로 누르고 승리했다.

이에 따라 아베 총리는 의원내각제인 일본 정치 시스템에서 집권당 총재가 총리를 맡는 관행에 따라 총리직을 계속 맡게 됐다.

이날 개표 결과 아베 총리는 국회의원표 405표, 당원표 405표 등 810표 가운데 68.3%인 553표(의원표 329표, 당원표 224표)를 얻어 큰 표차로 승리했다.

이시바 전 간사장은 254표(의원표 73표, 당원표 181표)를 얻는 데 그쳤다.

아베 총리의 임기는 오는 2021년 9월까지 3년이다.

이번 총재선거 압승으로 장기집권 기반이 공고해짐에 따라 그는 평소 정치적 소명으로 내세웠던 '전쟁 가능한 국가'로의 개헌에 박차를 가하고 군비 확충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이날 도쿄 당 본부에서 열린 차기 총재선거에서 승리한 뒤 인사말을 통해 "자민당원과 당 소속 국회의원 여러분과 함께 헌법 개정에 매진해 나가겠다"고 '개헌 의지'를 재확인했다.

아베 총리는 "방재·감재(재해를 줄이는 것)·국토강인화(强靭化)를 위한 긴급 대책을 3년간 집중적으로 강구해 안심할 수 있는 일본을 만들겠다"며 "여러분과 함께 헌법 개정을 위해 매진해 나가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아베 총리는 전쟁을 포기하고 전력 및 교전권 보유를 금지한 현행 평화헌법 개정에 대해 반대여론이 강한 만큼 일단은 이들 조항을 그대로 두고 자위대 설치 근거를 추가하는 방향으로 개헌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베 총리의 전쟁가능한 국가로의 개헌과 군비 확충에 대해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이 반발하면서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도 있어 주목된다.

아베 총리는 유엔총회 참석을 위한 방미 일정(오는 23~28일)을 마친 뒤 다음달 초에 내각 및 당직 개편을 통해 개헌 추진 등을 위한 전열을 재정비할 것으로 관측된다.

아베 총리는 이번 총재선거 승리로 총리직을 계속 맡게 됨에 따라 통산 총리직 재임일수에서 내년 11월 가쓰라 다로(桂太郞·1848∼1913) 전 총리(2천886일)를 누르고 최장기를 기록하게 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