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차원에서 적자폭 줄이기 위한 대안 찾아야
대구콘서트하우스 리노베이션 작업은 김범일 전 대구시장 재임당시 '대구시민회관 리노베이션 개발사업' (2010년 4월)에 따라 진행됐다. 사업시행자인 한국자산관리공사(이하 캠코)에 리노베이션 공사 후 개발비용을 상환하는 방식으로 리모델링을 완공했다.
하지만 이후 연평균 총수입은 고작 10억여 원에 불과한데 반해, 매년 캠코에 갚아야 할 상환액은 35억원이나 돼 부족분 20억원 안팎을 대구시 재정으로 메우고 있다.
긍정적 측면도 있다. 건물 리모델링 공사(2009~2013년, 지하 3층·지상 6층)로 현대식 건물로 탈바꿈했고, 편안한 객석과 고품격 음향시설 속에 대구시립교향악단(상임지휘자 줄리안 코바체프)과 대구시립합창단(상임지휘자 안승태)이 상주하면서 클래식, 합창 등 대구의 음악회 품격을 한층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렇지만 대구시는 공사 시작단계부터 큰 빚을 떠안았고, 향후에도 20년 가까이 시 재정에 큰 부담을 지게 됐다. 때문에 시 혈세를 아끼기 위해서라도 임대시설을 잘 관리해서, 적자를 보전해야 할 책임이 있다.
◆당초부터 임대시설 활용계획 없어
대구시는 8년 전 캠코와 리모델링 개발사업 승인 계약을 하면서부터 임대시설 활용방안에 대한 상세한 계획이 없었다. 당초 사업추진 방식을 BTL(임대형 민간투자사업)로 했기 때문에 시가 시설운영 및 수익을 내는 방안으로 고려해야 했지만, 대구시는 완공 이후에도 3년 동안이나 임대시설 전체를 공실로 방치했다.
당시 해당 업무를 했던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시민회관 리모델링'이라는 큰 틀의 사업만을 염두에 두고, 임대시설 분양에 관한 구체적 세부 실행계획은 마련하지 못했다"며 "이후 비싼 임대료와 관리비 등으로 어떤 기관이나 업체도 입주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더구나 이 임대시설에는 연기나 냄새 등을 건물 밖으로 빼낼 수 있는 시설이 없어 식당은 물론 수익을 내기 위해 입주하려는 민간 상인들이 들어오기에는 부적절하다.
2016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기관이나 업체 역시 시 차원의 공실채우기용 임기응변에 지나지 않는다. 대구시 산하의 (재)대구여성가족재단이 지나치게 비싼 임대료를 내면서, 필요 이상의 공간(2천764㎡)을 점유하고 있다. 시 산하의 스마트광통신센터는 지난해 11월에 갑자기 입주해, 임대료를 내지 않고 4천358㎡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설관리공단 관계자는 "대구시의 결정으로 스마트광통신센터가 들어왔으며, 자세한 배경은 잘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수입 확충방안 모색해야
대구콘서트하우스의 총수입은 해를 거듭할수록 늘고 있다. 2014년 5억5천900만원에 지난해에는 17억3천300만으로 3배 이상 늘어났다.
'2018 대구콘서트하우스 세입예산사업명세서'에 따르면 이중에는 시립교향악단·시립합창단·기획공연 입장료 수입(5억2천800만원)과 그랜드홀·챔버홀 대관료(1억9천800만원), 국고보조금(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 보조금 4억원)이 포함돼 있다. 사실상 임대료 및 관리비 수입은 이중의 절반도 되지 않는 금액(4억6천800만원)이다. 만약 모든 임대시설이 정상 분양된다면 10억원 이상의 수입을 올릴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구콘서트하우스 임대공간에 들어올 민간업체를 구하기는 쉽지않다. 주변 상가에 비해 연 임대료와 관리비 부담이 두배 가깝다. 전용면적 229.35㎡(약 70평)을 쓰고 있는 한 커피숍은 지난해 연 임대료 3천696만원, 관리비는 1천229만원을 냈다. 총 5천만 원에 달하는 금액이며, 평균 월 400만원(임대료+관리비)를 내고 있는 셈이다. 전용면적으로 1평당 계산하면 임대료는 월 5~6만원, 관리비는 1~2만원에 이른다.
대구콘서트하우스 관계자는 "현 상태로는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임대공간에 다양한 상업시설이 들어올 수 없다"며 "시 차원에서 뭔가 획기적인 방안을 들고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다수의 문화예술 전문가들은 "처음부터 캠코와 불리한 계약을 한 잘못은 차치하더라도, 대구시가 공사 완공 이후 5년 동안 적자보존을 위한 어떤 노력을 했는지 알 수 없다"고 비판했다.

◆향후 2033년까지 매년 35억원 부담
대구콘서트하우스가 완전하게 대구로 귀속되려면 만 15년을 더 기다려야 한다. 2015년 7월31일자 '대구시민회관 리노베이션 개발사업계획 수정·보완'에 따른 대구시 재정부담 계획에 의하면 상환총액 770억원(총사업비 549억원+이자, 개발비, 관리비 등 221억원)을 캠코에 갚아야 한다.
캠코는 이미 245억원(초기 부담액 140억원+3년 35억원씩 105억원)을 대구시로부터 상환받았으며, 앞으로 2033년까지 매년 35억원씩 받도록 되어 있다.
시는 대구콘서트하우스의 임대료 등 각종 총수입의 증감에 관계없이 매년 꼬박꼬박 35억원을 납부해야 한다.
사실상 대구시는 대구콘서트하우스 리모델링 공사 돌입 단계에서부터 향후 재정부담이 커지는 BTL 사업방식으로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이후 5년 동안 임대시설을 방치하다시피 한 점이다.
대구의 한 문화예술 기관장은 "국가 공기업인 캠코와 재협상을 통해 대구시의 재정부담을 좀 더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어설명
▶BTL(Build-Transfer-Lease)=사회기반시설의 준공과 동시에 해당 시설의 소유권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되며, 사업시행자에게 일정기간의 시설관리운영권을 인정하지만 그 시설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이 협약에서 정한 기간 동안 임차하여 사용·수익하는 방식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