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가 도시균형 발전과 동부권 도시재생 사업의 하나로 추진해오던 '용상동 비행장부지 주변 계획적 도시공간 재구성' 사업이 경제성 논리에 부딪히면서 난항이다.
이 사업은 78만여㎡ 부지를 중심으로 5만6천여㎡를 개발, 용상동에 부족한 기반시설과 주민 편의시설을 설치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계획으로 구상됐다. 이미 비행장과 교도소 부지는 매입해 놓은 상태다.
2020년까지 1단계 사업으로 비행장 부지를 중심으로 체육시설과 공원, 어린이집, 복합환승센터를 조성하고 2단계 사업으로 2030년까지 기반시설 및 근린생활시설과 주거시설 및 근린생활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하지만 시내·시외버스와 승용차의 환승 기능과 주변 관광지와 연계 기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면서 추진했던 '복합환승센터'가 타당성 분석에서 경제성이 낮게 나온데다, '용상 공영 터미널'로 축소한 것마저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동시의회 김상진(중구·서구·명륜동) 의원은 4일 기자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부지매입과 건축 등 100억원이 들어가고, 해마다 2억원 이상의 운영비가 투입되는 용상터미널 사업은 현실에 맞지 않다"고 했다.
그는 "용상동 경우 인구노령화와 인구감소 등으로 터미널 이용객 감소가 불가피한데다, 버스 운송업체들도 입지조건과 인건비증가, 운전자 및 차량증차 등으로 위탁을 꺼려하고 있어 터미널 조성 이후 운영에 막대한 시민 혈세가 투입되야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하지만, 용상동이 지역구로 6년여 동안 이 사업을 추진해온 안동시의회 권광택 의원은 "당초부터 이 사업은 경제성 논리로 접근하지 않았다. 기차역과 버스터미널 등이 서부권으로 옮겨가고 옥동과 도청 신도시 조성으로 용상동과 동부권이 급속도로 쇠락해지고 있어 균형발전 차원의 사업"이라 반박했다.
그는 "안동관광단지와 안동호반 관광지, 휴그린 골프장 등 관광자원을 연결하는 허브 교통망을 만들고, 각종 축제와 이벤트 행사를 정례화하는 공간으로 활용, 지역 특색과 관광을 접목해 활력적이고 경쟁력 있는 부도심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안동시가 지난해 용상 공영터미널 사업 타당성 분석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철도 복선전철화 이후 안동버스터미널 이용객들이 연간 37만명에서 27만명으로 줄어드는 등으로 B/C(비용대 편익비)가 1.0에 못 미쳐 경제성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