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포털에 가로막힌 지역 뉴스 소비, 더는 방치할 수 없다

입력 2018-08-30 05:00:00

네이버·다음 등 인터넷 포털 업체의 ‘지역 뉴스 홀대’를 바로잡는데 정치권이 뜻을 모았다. 28일 열린 한국지방신문협회 주최 ‘디지털 시대 지역신문의 역할’ 토론회에서 50여 명의 여야 의원들은 포털의 지역 뉴스 의무 반영 등 관련 법 개정에 공감하고, 현재 국회에 발의된 ‘네이버-지역언론 상생법’ 등 처리를 앞당기기로 했다. 포털의 지역 뉴스 배제는 지역 언론의 위상을 약화시키고 나아가 지방분권마저 가로막는 중대 요인이라는 점에서 국회의 이런 움직임은 고무적인 일이다.

그동안 거대 포털 업체의 ‘지역 뉴스 노출’ 행태를 보면 매우 인색하다 못해 무시 그 자체라고 해도 틀린 표현이 아니다. 뉴스 소비자의 종이신문 구독 시간이 하루 평균 5분인데 반해 모바일 등 디지털 매체를 통한 뉴스 소비는 평균 1시간에 가까운 현실에서 포털과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실상은 매우 실망스럽다. 네이버 등 포털 업체들이 지역 뉴스를 그저 구색 맞추기용으로 여기거나 뉴스 다양성 등에 관한 인식이 매우 낮아서다.

물론 재정 상황 등 한계 때문에 지역신문이 포털과 비교해 디지털 환경 고도화에 뒤처진 것은 맞다. 하지만 포털 업체가 지역 신문의 어려운 상황을 빌미로 전재료 협상 등에서 주도권을 휘두르는 것은 지방 언론 나아가 한국 언론 발전에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무엇보다 포털의 이런 행태는 디지털 뉴스 소비의 편중을 심화하고 수도권-지방이라는 잘못된 이분법 구조를 부추긴다는 점에서 관련 입법을 통해 빨리 바로잡아야 한다. 국민의 디지털 뉴스 소비를 쥐락펴락하며 구조를 왜곡시키는데도 규제 없이 그냥 넘어간다면 지역 뉴스에 대한 관심도는 떨어지고 수도권 언론의 지위만 더 굳어질 수밖에 없다. 정부와 국회는 관련 법 개정과 정책 지원에 적극 나서고, 포털 업체도 지방 뉴스는 지방만이 아니라 전 국민의 이익과 결부되는 콘텐츠라는 점을 인식해 빠른 태도 변화를 보여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