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청와대에 미운털이 박힐까 걱정이다. '최악' 수식어가 붙은 경제지표를 통계청이 잇따라 발표했다. 금융 위기 이후 10년 만에 고용과 양극화 지표가 최악으로 나타났다.
고용지표는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에 바로 영향을 줬다. 한국갤럽이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 성인 1천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를 보면 문 대통령의 직무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56%였다. 지난주보다 4%포인트 하락했다. 갤럽이 문 대통령 취임 이후 조사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고용동향 발표 후 경제 상황에 대한 정부 책임론이 부각된 영향으로 갤럽은 분석했다. 경제민생 문제가 대통령 지지율에 직격탄을 날린 셈이다.
소득계층 간 격차가 10년 만에 가장 크게 벌어졌다는 통계청 발표는 청와대로서는 더욱 뼈아프다. 최저임금 인상 등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1년 넘게 폈는데도 최저소득층 소득이 대폭 줄었다. 최악의 양극화 지표는 성장보다 분배에 역점을 둔 청와대와 여당, 정부를 면목 없게 만들었다. 최저임금을 올려 분배를 개선한다는 방식 자체가 잘못된 것이란 얘기까지 나온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서울 집값도 청와대로서는 곤혹스럽다. 서울 한강변의 전용 84㎡ 아파트가 30억원대에 팔렸다. 1, 2주 만에 2억원가량 올라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3.3㎡에 1억원이나 된다. 미분양이 속출하는 지방에 사는 주민들은 수직 상승하는 서울 집값을 보면서 박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일부 지역에 국한된 부동산 가격 상승은 자산 보유에 따른 계층 간 불균형을 심화시킬 우려가 크다. 소득분배의 공평성을 강조하는 청와대로서는 이 또한 할 말이 없게 됐다.
최악 수준 성적표를 연이어 받고서도 청와대는 소득주도성장 정책 수정은커녕 필요성이 입증됐다며 고집을 버리지 않고 있다. 몇 번이나 더 낙제 점수를 받고 정신을 차릴 텐가. 그 사이 회복 불능 상태에 빠진 경제와 국민의 삶은 누가 책임질지 청와대에 묻고 싶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