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도 심화할 전망, "하천·먹는 물 수질 확보하려면 보 개방해야" 목소리 커져
낙동강 유해물질 공포가 채 식기도 전에 '녹조 라떼'가 재현되면서 먹는 물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
대구지방환경청은 30일 오전 10시 낙동강 강정·고령보와 영천호에 조류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다. 관심 단계는 하천수 속 유해남조류가 2주 연속 1㎖당 1천개 이상일 때 내린다.
대구환경청에 따르면 강정·고령보 유해 남조류 세포 수는 지난 23일 1㎖당 6천70개, 28일 1㎖당 2만4천156개로 관심 단계 발령 기준을 넘겼다. 같은 기간 영천호도 1㎖당 2천191개, 1만8천771개로 기준치를 넘어섰다.
대구환경청은 낙동강 칠곡보, 강정·고령보, 덕동호·안계호(경주), 영천호·운문호(영천) 등 총 6개 지점에서 조류경보제를 운용한다.
영천호에 관심 단계를 내린 것은 2011년 이후 7년 만에 처음이다. 강정·고령보는 지난 11일 해제한 지 19일 만에 다시 발령했다.
대구환경청은 이달 초 장마 이후 낮 최고기온 30℃를 웃도는 폭염이 이어지고 수온도 올라 조류 번식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다고 봤다. 특히 영천호는 이달 초 집중 강우 때 주변 농지 등에서 오염원이 유입돼 인, 질소 등 영양물질 농도가 높아졌고 수온도 25도 이상을 유지해 남조류가 대량 증식했다는 설명이다.
낙동강 수돗물을 식수로 삼는 대구시민의 불안감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6월 과불화화합물 검출 논란이 있은 지 1개월 여 만에 녹조마저 급증해서다.
대구환경청 관계자는 "낙동강 하천수를 취수하는 취·정수장은 활성탄과 오존을 이용한 고도정수처리시스템을 갖췄다. 영천댐도 녹조가 없는 심층에서 취수하고, 정수장에서도 상시 정수처리와 분말활성탄 추가 처리를 병행해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했다.
이날 환경단체는 낙동강 보 개방 등에 따른 재자연화, 낙동강 유역 핵심 오염원 퇴출을 요구했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낙동강 일대 대형 산업단지를 없앨 수 없다면 정부와 지자체가 산단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며 "보 수문 개방, 보 철거까지도 고려해 낙동강을 재자연화하고 낙동강 상류의 영풍제련소 등 개별 공장도 퇴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환경부는 지난해 6월 시작한 4대강 보 개방 중간결과와 낙동강 보 추가개방 계획 등을 발표했다.
서영태 환경부 보개방모니터링 상황실 총괄팀장은 "보 개방으로 물 흐름을 회복해 조류 농도가 줄고 사라진 모래톱도 생기는 등 4대강 재자연화 가능성이 보였다"며 "금강·영산강 보는 최대 개방 상태를 지속하고, 낙동강·한강 등 대형 취·양수장이 있는 지역 보도 추가개방할 계획"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