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도시 스마트시티 경쟁 본격화…사업비 규모, 대구 615억-부산 1조-세종 7천억

입력 2018-07-30 05:00:00

대구, 부산과 세종에 비해 산업 육성 기반 허약...과제의 다양성도 부족

대구시가 최근 유치한 스마트시티 실증도시 사업이 부산과 세종의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사업보다 산업과 창업 기반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가 2015년부터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을 벌여온 수성알파시티의 모습이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최근 유치한 스마트시티 실증도시 사업이 부산과 세종의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사업보다 산업과 창업 기반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가 2015년부터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을 벌여온 수성알파시티의 모습이다. 대구시 제공

전국 도시들의 스마트시티 경쟁이 본격화됐다. 도시마다 스마트시티 조성에 뛰어든 가운데 사업비 규모와, 산업·창업 기반의 측면에서 대구가 다른 도시에 뒤처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스마트시티에 적용되는 정보통신기술과 관련한 기업들이 뿌리내릴 수 있는 경제적 토대 확보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615억원 대 1조7천억원

대구시가 지난 10일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실증도시 공모에 선정된 가운데 정부는 16일 세종과 부산의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기본 구상'을 발표했다. 대구의 사업비는 고작 615억원에 불과하다. 부산과 세종은 각각 1조원과 7천억원이고, 용지비를 제외하더라도 4천300억원과 4천억원의 조성비가 투입된다.

이는 사업 성격 차이에서 비롯된다. 대구가 기존 도시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한 '리모델링'이라면, 부산(219만㎡)과 세종(274만㎡)은 특정 지역에 신도시를 조성하는 '신축'과 같기 때문이다.

문제는 사업 규모의 차이로 인해 스마트시티의 핵심인 산업 토대 마련에서 대구가 뒤질 수 있다는 점이다. 지역의 한 전문가는 "스마트시티 추진 도시들은 공공투자와 더불어 민간투자 유치와 관련 산업 육성을 두고 경쟁을 벌여야 하는데, 대구는 밑그림부터 산업과 창업을 내세운 부산과 세종에 밀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산업과 창업이 스마트시티 성패 좌우

대구의 실증도시 사업은 부산과 세종의 시범도시 사업과 비교해 산업과 창업 부분이 부족하다고 평가된다. 부산과 세종은 구상단계부터 산업과 창업에 중점을 뒀다.

부산은 스타트업 육성 기업가인 천재원 영국 엑센트리 대표가 마스터플랜을 만들었다. 혁신센터를 구축하고, 스마트시티 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연구개발을 지원해 신성장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세종도 전기차와 수소차, 자율주행 자동차 등 미래형 자동차를 비롯해 첨단의료, 청정에너지 등 도시 전체를 기업들의 기술 연구개발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충청권 산업단지와 연계해 특화산업과 창업기반을 다진다는 방안도 내놓았다.

반면 대구는 도시의 기존 교통과 안전, 행정 시스템에 신기술을 접목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대중교통 분담률 향상과 교통 밀집 지역의 주차난 해소, 대형 재난 때의 골든타임 확보 등을 위한 기술개발과 실증환경 구축을 추진한다. 관련 산업 육성과 창업공간 확보 등은 주요 사업에서 포함돼 있지 않다. 과제의 다양성 확보도 풀어야 할 숙제다.

정부가 부산과 세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한 점도 대구에 불리한 상황이다. 정부는 부산과 세종의 성공을 위해 데이터·AI 센터 등 시범도시 선도사업을 추진하고, 글로벌 기업 유치와 기업 실증 지원 등 산업생태계 조성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의 실증도시 사업은 교통과 안전, 행정 등 기존 도시문제에 스마트시티 기술을 적용해 신속하게 확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관련 기업 유치와 창업 기반 마련 등에 대한 계획은 보강할 필요가 있다"면서 "2022년 사업 완료 이후에도 민간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지도록 세부추진계획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