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공단 경기 전망 여전히 어두움, 올 3분기 기업경기전망 조사 지난 2분기보다 33포인트 급감

입력 2018-06-25 15:42:39 수정 2018-06-25 18:06:21

구미공단 입주 기업체 4곳 중 1곳만 신규채용 계획, 매출 감소에다 급격한 고용환경 변화 탓

구미국가산업단지 전경. 매일신문 DB
구미국가산업단지 전경. 매일신문 DB

구미국가산업단지 전경. 매일신문 DB
구미국가산업단지 전경. 매일신문 DB

구미국가산업단지의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3분기 제조업 경기 전망도 여전히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구미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최근 구미국가산업단지 내 제조업체 87곳을 대상으로 3분기 기업경기전망을 조사한 결과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79(기준치 100)로 지난 2분기 112보다 33포인트나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기계'금속'자동차부품업이 103으로 호전 전망이 있지만 전기'전자 63, 섬유'화학 75, 기타 업종 58 등 나머지 전 업종은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79, 중소기업 80으로 모두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올 하반기 신규채용은 25%만 계획 중이고, 46.1%는 없음, 28.9%는 불확실하다고 응답해 고용 전망 역시 어두웠다.

채용 계획이 없는 이유는 44.7%가 매출 감소를, 31.6%는 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상승을 꼽았다.

대내외 여건 중 가장 큰 영향을 끼칠 사안은 고용환경 변화(33.7%), 환율 변동(17.9%), 금리 인상 가능성(15.8%) 등 순으로 집계됐다.

근로시간 단축과 최저임금 인상 등 고용환경 변화에 대해선 50%가 어느 정도 부담된다고 했고, 40.8%는 매우 부담, 7.9%는 별다른 부담이 없다고 답해 90% 이상이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단축 대응 방안으로는 대응 못한다가 31.7%였고, 집중 근무시간 관리 29.3%, 유연근무제 활성 24.4%, 신규채용 확대 6.1% 순으로 답변했다.

최저임금제 상승에 대한 대응으로는 39.5%가 신규채용을 축소하겠다고 했고, 27.2%는 대응 못함, 13.6%는 기존 인력 감축, 3.7%는 해외 이전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김달호 구미상공회의소 경제조사부장은 "급격한 고용환경 변화로 하반기 구미 기업체 4곳 중 1곳만 신규채용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선 기업 스스로 투자를 확대하고 채용을 늘릴 수 있는 친기업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