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복잡해진 셈법…'중국 역할론' 흔들

입력 2018-05-27 16:47:40

트럼프 경고에 남북 정상 깜짝 회동까지…중국 입지 축소
한반도 비핵화·종전선언까지 남북미 3자체제 거론에 中 '곤혹'

최근 한반도 상황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두 차례 북중 정상회담으로 북한의 '든든한 뒷배'라고 자처하던 중국이 최근 미국과 한국의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파격적인 대응 행보에 셈법이 한층 복잡해졌다.

중국은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 중재자 한국을 중심으로 북한과 미국이 협상하는 구도에 끼어들어 4자 체제를 구축한다는 방침 아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최근 두 차례나 중국으로 불러들이는 등 북한 끌어안기에 주력해왔다.

이런 와중에 북미간 비핵화 방식 등을 놓고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지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미 정상회담 취소 서한에 이어 갑작스러운 2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재개 가능성 언급이 나오면서 졸지에 중국이 끼어들기 어려운 형국이 되는 모양새다.

27일 베이징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지도부는 한반도 정세가 다시 요동치자 긴급회의를 통해 대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북미회담 취소 서한을 보낸 것에 대해 중국은 사전 통지를 받지 못했고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판문점 회동도 사전에 충분히 통지를 받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두 차례 북중 정상회담으로 미국과 대등한 한반도 협상 주도권을 갖게 됐다고 생각했던 중국으로서는 매우 당혹스러운 상황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취소 서한을 김 위원장에 보내면서 사실상 북한과 함께 중국도 정조준했고, 한반도 비핵화의 중재자 역할이 흔들렸던 한국도 26일 오후 판문점 북측 지역에서 기습적으로 2차 정상회담을 감행하면서 중국을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심지어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2차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면서 "북미정상회담이 성공할 경우 남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종전선언이 추진됐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사실상 지난달 남북정상회담에 이은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종전 선언으로 가는 과정에서 한국과 북한, 미국이 주축이 되고 중국은 배제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문일현 중국 정법대 교수는 "이번 남북정상회담은 중국이 판을 흩트린 것을 바로잡는 계기가 됐다"면서 "마치 중국이 판을 깨려고 했기 때문에 중국을 포함한 4자가 아닌 3자 체제로 가겠다는 것을 얘기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

중국의 고민은 향후 예전처럼 북한을 다시 강하게 끌어당기기가 쉽지 않게 됐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 중국에 끼어들지 말라고 경고한 징후가 이미 여러 차례 포착된 상황에서 북미 정상회담 취소 서한까지 보내며 승부수를 던졌고, 남북이 긴급 정상회동까지 한 상황에서 또다시 중국이 '뒷배'를 자처하며 북한에 접근해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인다.

한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상 중국에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더는 끼어들지 말라고 최후통첩을 날린 상황"이라면서 "이에 따라 중국은 당분간 조용히 북미 정상회담이 진행되는 걸 보면서 향후 이 판에서 영향력을 키울 방법을 고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