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주거 장소 이력에 따른
미세먼지·이산화탄소 노출 조사
각종 대기오염물질이 많은 버스정류장 인근에 사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폐암에 걸릴 위험이 최대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의 주된 원인으로는 흡연이 꼽히지만 미세먼지(PM10)와 이산화질소(NO2) 등도 원인으로 지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하대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아산병원 공동 연구팀은 조직검사에서 폐암 확진 판정을 받은 908명과 같은 수의 건강한 대조군을 대상으로 20년 동안의 주거 장소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노출 정도와 폐암 발생의 관련성을 일대일 면접 조사했다.
폐암 환자는 평균 61세에 진단을 받았고, 여성(38%)보다 남성(62%)이 더 많았다. 남성 환자의 23%는 조사 시점에 흡연자였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 폐암 환자를 나이, 성별, 흡연 경험, 직장에서의 발암물질 노출 여부 등을 기준으로 나눠 폐암 발생률을 비교했다. 대기오염물질의 경우 각 환자의 20년치(1995∼2014년) 주소 이력에 지역별, 연도별 미세먼지(PM10)와 이산화질소(NO2) 농도를 역추적해 노출량을 추정했다.
연구 결과, 미세먼지(PM10)가 1㎥당 10㎍씩 증가할 때마다 폐암 발생률은 1.09배 상승했다. 또 자동차 배기가스 성분인 이산화질소(NO2)는 10ppb 증가할수록 폐암 발생률이 1.10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버스'택시 정류장에서 반경 2㎞ 이내에 거주하는 사람의 폐암 위험도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2.01배 높았다. 공업단지나 소각로에서 반경 2㎞ 이내에 사는 사람의 폐암 위험도도 각각 1.18배 높았다.
버스'택시 정류장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의 폐암 위험도가 훨씬 높은 셈이다. 폐암의 종류별로는 간과 뇌 등에 전이가 잘되는 선암보다 편평세포암, 소세포암이 대기오염과 관련이 깊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국내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20년치 주거지 이력에 따른 대기오염 노출을 평가함으로써 폐암 발생과의 조직학적인 연관성을 밝힌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폐는 감각신경이 없어 결핵이나 감염 등으로 손상돼도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폐암 초기도 자각 증상이 거의 없거나 기침, 가래 등으로 감기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아 조기 발견이 쉽지 않다.
연구팀 관계자는 "대기오염물질에 노출되더라도 하루 한 번 이상으로 과일을 많이 먹는 사람은 한 달에 1~3번 정도로 적게 먹는 사람보다 폐암에 걸릴 위험이 낮았다"면서 "과일 섭취는 대기오염의 산화 스트레스 영향에 대한 보호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연세의학저널(yonsei medical journal) 11월호에 발표됐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