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차기 의장에 지명된 것으로 알려진 제롬 파월(64) 현 연준 이사는 중립 성향의 비둘기파로 분류된다.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측면에서 점진적이고 신중한 금리 인상을 강조하는 재닛 옐런 현 의장과 동일한 시각을 갖고 있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의 파월 발탁은 통화정책의 연속성에 방점을 찍은 시장친화적 인사로 풀이된다.
현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규제 완화에 우호적이어서 트럼프 행정부와 손발을 맞출 적임자로 꼽혀왔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이 적극적으로 추천했다는 후문이다.
파월은 프린스턴 대학과 조지타운 대학 로스쿨을 졸업한 변호사 출신으로, 폴 볼커 전 의장 이후 30년 만에 경제학 학위 없이 '미국의 경제 대통령'에 오르는 기록을 갖게 됐다. 로스쿨 재학 시절 조지타운 로저널(학보) 편집장을 지냈다.
1979년 로스쿨 졸업 후 뉴욕 항소법원에서 2년간 서기로 일한 뒤 1981~83년 뉴욕의 법률회사 '데이비스 폴크 앤 워드웰'에서 변호사로 활동했다.
파월이 금융계에 첫발을 들인 것은 1984년 투자은행 '딜런 리드 앤 코'에서 일하면서다. 그는 7년간 파이낸싱과 종합금융, 인수합병(M&A) 업무를 담당하며 부사장까지 올랐다.
이어 1990년 공화당의 조지 H.W.부시(아버지 부시) 행정부 당시 재무부에 입성해 1992년 국내 금융 담당 차관을 역임했다.
1997~2005년 투자회사 칼라일 그룹의 파트너로 지냈으며, 2010~2012년 싱크탱크 '초당적 정책센터(BPC)'에서 방문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연구원 시절 그는 미 의회가 부채 한도를 인상하는 데 앞장섰으며, 연봉으로 1달러만 받기도 했다.
공화당원인 그는 2012년 5월 민주당 출신인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지명으로 연준 이사에 취임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