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둘러싼 한중 갈등이 양국 공동 협의 결과문 발표로 일단락된 가운데 양국관계가 사드 이전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고 중국 전문가들이 전망했다.
또 한중 간 사드 합의가 단기적으로는 북중관계에 악재로 작용하겠지만, 북핵 해법으로 대화론을 주장하는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회복되면서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의 한반도 전문가 진징이(金景一) 베이징대 교수는 31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이번 합의는 문재인 정부 출범과 시진핑 집권 2기가 맞물려 좋은 기회가 낳은 결과"라며 "양국 최고 지도부의 의지가 반영된 이번 합의로 인해 한중관계는 급속도로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진 교수는 "사드 갈등은 사실 뿌리 깊은 불신과 합의할 수 없는 민족 감정과 닿아 있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회복 속도가 빠를 것"이라며 "그동안 사안에 비해서 갈등 양상이 과열된 측면이 많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제는 막혀 있던 양국 간 민'관 교류를 활발히 진행해야 할 때가 됐다"면서 "학계, 문화계, 정계 등 모든 영역에서 교류가 다시 활기를 띤다면 사드 이전 수준 정도까지 관계를 회복하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뤼차오(呂超)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한반도연구센터 연구원은 이번 사드 합의문 발표에 대해 "사드 문제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해결하는 것은 양국이 모두 희망하던 것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집권한 이후 한중관계를 적극적으로 추진했고, 중국 역시 19차 당 대회 이후 한중관계를 중요시했던 결과"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뤼 연구원은 "양국관계 회복의 가장 좋은 시기를 맞았다"며 "양국은 적극적으로 관계 회복을 추진해 나가는 한편, 중한관계의 가장 큰 위협인 사드 문제를 원만히 처리해 나가야 양국관계가 진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동길 베이징대 교수도 "관광과 한류 콘텐츠 등 제재가 풀리면 한중 간 악화했던 감정은 급속히 좋아질 것"이라며 "다만, 현대차와 같은 한국 기업들의 떨어진 판매량은 단번에 회복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이어 "양국관계를 이전 수준으로 되돌리는 데 중요한 관건은 한중 정상회담"이라며 "사드 갈등으로 양국관계에 남은 상처가 깊지만, 정상 간 대화를 통해 치유 방법을 찾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중 간 사드 합의는 북핵 문제 등 한반도 정세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진 교수는 "사드 문제에서 중국이 한 발 뒤로 물러서면서 용인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북한이 불만을 표하거나 중국과 갈등을 겪을 수도 있지만, 이는 단기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북핵 해법으로 대화론을 내세우는 한국과 중국의 입김이 세지면서 한반도 정세가 안정을 찾을 가능성이 커졌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