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문화재단 '임기 7개월' 새 대표 모집
"지금까지 쌓은 경험과 지혜를 대구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쏟고 싶었지만 7개월짜리 대표가 무슨 일을 할 수 있겠습니까."
대구문화재단이 새 대표를 공개 모집하고 있는 가운데, 문화계에서는 우려와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대구문화재단 대표로 역량을 발휘해보고 싶은 꿈은 있지만 이번에는 응모를 포기했다고 기자에게 밝힌 사람만 해도 4명이다. 일반적으로 대구시 산하 문화예술기관이나 단체의 장 후보에 응모하는 사람 숫자가 10명 안팎인 점을 고려할 때, 응모 포기자 4명은 무시해도 좋을 숫자가 아니다.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한 것은 새로 선임되는 대구문화재단대표의 임기가 심재찬 전 대표의 잔여 임기인 '2018년 6월 25일'까지로, 순조롭게 선임 절차가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7개월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대구문화재단은 지난 9월 심재찬 전 대표가 임기 8개월 남기고 사퇴 의사를 밝힘에 따라, 임시이사회를 열고 차기 대표 선임 절차와 대표의 임기에 관한 정관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르면 대표와 선임직 임원의 임기는 개정 전 '3년 단임'에서 개정 후 '임기 3년에, 2년에 한해 1회 연장 가능'하다. 개정 정관에 따라 최장 5년까지 대표직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임 대표가 중도 사퇴할 경우 후임은 전임의 잔여 임기로 한다'는 조항을 개정하지 않고 그대로 둔 것이 발목을 잡았다.
지역 문화계 인사들은 "대구문화재단과 대구시가 심재찬 전 대표의 잔여 임기가 8, 9개월밖에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정관 개정 때 잔여 임기 문제를 보완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새로 선임되는 대표를 7개월짜리로 만들어 손발을 묶어 버렸다"고 지적한다. 업무 파악하느라 보장된 임기를 다 보내게 된다는 것이다.
문화계 인사들은 "대구문화재단 대표의 중도 사퇴로 새 대표를 선임할 경우 잔여 임기가 1년 이상일 때는 잔여 임기로 하더라도, 잔여 임기가 1년 미만일 때는 새 대표가 새 임기 3년 동안 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관을 다듬었어야 했다. 그러나 대구시와 대구문화재단이 이를 보완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새 대표가 리더십을 발휘할 기회조차 없게 돼 버렸다"고 지적한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새 대표의 임기는 심재찬 전 대표의 잔여 임기 7개월과 이번 정관 개정으로 1회에 한해 2년 연장할 수 있으므로, 임기는 2년 7개월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문화계 인사들은 "대구시 산하 다른 문화예술 관련 기관의 장이나 대표의 임기를 1회 정도 연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하더라도, 이번에 임명되는 대구문화재단 대표가 심 전 대표의 잔여 임기 7개월에 2년을 더 재직한다고 간주하는 것은 대구시의 일방적인 해석"이라고 지적한다. 문화계 인사들은 "대구문화재단이 정관 개정 때 정작 중요한 문제를 간과함으로써 대표후보 인재풀을 스스로 좁히는 결과를 낳았다"고 한목소리로 비판한다.
한편 대구문화재단은 26일(목)~31일(화)까지 재단대표 응모원서를 접수하며, 11월 6일(월) 서류심사, 11월 11일(토) 면접심사 등을 거쳐 2명 이상의 대표후보를 대구시장에게 추천하고, 대구시장이 최종 임명한다. 관계기사 2면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