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국당 지방선거 후보들의 당원 확보 경쟁, 이대로 좋은가

입력 2017-09-22 00:05:01

자유한국당이 시도당별로 당원 확보에 나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당원배가운동은 추락한 지지세를 회복하고, 내년 지방선거에 대비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한다. 일부에서는 이 같은 입당 러시를 두고 한국당이 되살아났다고 떠들지만, 오히려 부작용이 더 두드러지는 것 같다.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선거운동 차원에서 당원을 경쟁적으로 모으고 있어 벌써부터 선거 과열이 우려될 정도다.

한국당은 7, 8월 두 달간 입당원서를 낸 당원이 7만 명을 넘어섰다. 다음 달에도 경북 전역에서 3만 명 이상이 입당원서를 낸다고 하니 얼핏 '대박'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한국당은 북한의 핵실험 도발로 보수 결집 현상이 나타났다고 해석했다. 일부 당원은 한국당 희망대로 그런지 모르겠지만, 전체적으로 그런 문제와는 아주 거리가 멀다.

신규 당원의 주거지를 보면 영남권에 몰려 있으며, 대구'경북이 주도하고 부산'경남이 따르는 모습이다. 영남권을 제외한 다른 지역의 신규 당원은 그리 많지 않다. 한국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의 후보자들이 당내 경선에 대비해 '자기편' 당원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일 뿐이다.

대구만 해도 시장 후보로 나서는 A씨는 당원 2만 명을 모았다는 둥, 권영진 시장 측도 못지않게 당원을 확보했다는 둥 온갖 소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소문은 다소 부풀려졌을 뿐, 맥락은 어느 정도 정확하다고 하니 과열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다. 경북 또한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도지사, 시장'군수는 물론이고 지방의회 의원까지 나서 난리법석이다.

정당의 당원 확보운동을 두고 불'탈법을 운운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당원 확보 과정이 변형된 선거운동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께름칙하고 불쾌하기 짝이 없다. 대구'경북에서는 당내 경선에서 이기면 당선 가능성이 아주 높아지기 때문에 당원 확보 경쟁은 사전선거운동이나 마찬가지다. 당원 확보력이 후보의 경쟁력인 것처럼 인식되면 당내 경선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겠는가. 그렇다고, 홍준표 대표가 생각하는 것처럼 '낙하산 공천'을 하라는 것은 아니다. 대구'경북만큼은 민의 왜곡을 막기 위해서라도 당내 경선 방식을 바꾸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