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에서 사용 중인 의료장비 4대 중 1대는 제조일도 확인되지 않는 노후기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자유한국당 간사 김상훈 국회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병원 등이 보유한 의료장비는 83만2천63대로 이 중 제조시기나 사용기간을 알 수 없는 장비가 20만7천585대(24.9%)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사용기간 5년 미만 장비는 25.4%(21만1천599대)였고, 5∼10년은 23.4%(19만4천810대), 10∼20년은 24.1%(20만164대)였다. 20년 이상 사용한 장비도 2.2%(1만7천905대)를 차지했다.
특히 고가의 특수의료장비인 CT(컴퓨터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 Mammo(유방촬영장치) 노후도가 심했다. 특수장비 6천452대 중 10년 이상 사용하거나 제조시기를 알 수 없는 노후장비는 40%(2천587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특수장비 가운데 중고로 들여온 장비는 2천32대로 31.5%를 차지했다.
김 의원은 "건강보험공단이 특수의료장비 노후 정도나 검사품질과 관계없이 똑같은 수가를 지급해 의료기관이 새 장비 대신 중고를 사려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후장비 퇴출 기준을 마련하고, 사용기간'촬영횟수'장비성능'설치 지역별로 차등 수가를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