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설마 대구 공격할까요" 무덤덤한 대구 시민

입력 2017-09-12 00:05:04

市 대피시설 비상식량·장비 없어…유사시 얼마 못 버틸 정도로 미흡

북한이 제6차 핵실험을 감행하면서 핵전쟁 공포가 날로 커지고 있으나 대구시민 대부분은 유사시 대피요령 및 대피시설 위치를 모르는 실정이다. 더욱이 대구시에 마련된 비상대피시설 역시 대부분은 핵위협 대비에 미흡해 보완이 시급하다.

11일 오전 대구 중구 남산동의 한 아파트단지. 지하주차장 입구에 '대피소' 표지판이 있지만 눈여겨보는 주민은 거의 없었다. '핵 공격을 받는다면 어디로 피해야 하는지 아느냐'는 질문에 주민들은 "모른다" "집 안으로 도망쳐 숨겠다"고만 했다. 주민 도모(59) 씨는 "대피 훈련을 받은 적이 없어 실제 공격을 받는 상황이라면 더 피난처를 떠올리기 힘들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이 설마 대구에 핵 공격을 가하겠느냐'는 반응도 많았다. 시민 안모(27) 씨는 "수도권이라면 모를까, 대구에 핵폭탄이 날아온다는 생각을 해보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시민들이 비상대피시설을 찾아도 얼마 버티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시설 대부분이 비상식량'의료장비를 갖추지 않은 '지하실'에 불과해서다. 시에 따르면 현재 확보된 비상대피시설은 총 766곳, 360만여㎡에 이르지만 핵 공격 이후 최대 3주간 지속될 치명적인 낙진 피해에 무방비로 노출될 위험이 크다. 시 관계자는 "공공 대피시설은 임시 대피시설이라 구호물자나 비상장비를 구비해야 한다는 규정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비해 '대피시설 선진국'인 스위스는 핵 공격을 버틸 수 있는 비상대피소 25만 곳에서 인구 95%가 한 달 이상 버틸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구가 결코 '핵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대피시설을 확충하고 구체적 대피훈련을 통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경북대 이정태 교수(정치외교학과)는 "대구는 미군부대와 공군기지가 있고, 가까운 왜관에 미 군수물자 창고가 있어 충분히 공격목표가 될 만하다"며 "굳이 핵 공격이 아니더라도 자연재해 등에 대비해 대피시설을 점검하고 생활 속 대피훈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