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포항·울진 北 미사일 타격권…지역 내 시설 방어체계 구축 시급
북핵 위협과 사드 배치 등 한반도 갈등이 고조되면서 경북 동해안 원전 밀집지역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경주~포항~울진 등이 북한 미사일 타격권에 들어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내 위험시설에 대한 방어체계 구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주와 울진 등에 자리한 원전 구조물의 경우 북한 미사일 공격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경성대 김해창 교수는 "미국이 '군사적 카드'로 북핵 시설 공격을 꺼낼 때마다 한반도 긴장은 최고조에 달한다. 바꿔 얘기하면 우리나라 원전 공격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다. 원전 다수 호기가 밀집돼 있는 지역에 대한 테러나 전시에 대비한 방호 대책 등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경북 동해안지역 미사일 타격권 공포는 지난달 15일 북한 조선중앙TV를 통해 공개된 군사작전용으로 보이는 지도 3점에서 비롯됐다. 이들 지도에는 우리나라를 군사분계선과 울진'포항'부산 등으로 나눠 각 지역의 주요 부대 및 국가전략 핵심시설이 적혀 있다. 전쟁 발발 시 미사일을 활용한 최우선 공격 거점으로 분류했다는 의미다. 경주와 울진은 현재 12기의 원자력발전소를 보유하고 있고, 포항은 제철산업의 핵심인 제철소가 자리하고 있다.
북한은 해당 시설을 먼저 타격함으로써 전력 및 보급을 차단하고, 원전 파괴로 인한 부차적 피해를 꾀하는 작전을 감행할 수 있다고 군사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이철우 국회 정보위원장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미사일 공격은 정부가 규정하고 있는 원전설계기준(DBT)을 초과하는 사항으로 원전 자체의 방호력으로는 방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울진의 시민단체 관계자는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 갈수록 고조되는 상황에서 주요 타격 대상에 대한 분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은 주민 안전을 내팽개쳤다는 것과 같은 의미"라며 "탈원전 정책만큼 가동 원전에 대한 안전 확보도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돼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