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 각 정당의 미래는…민주, 여당 '운영의 묘' 고민-한국, 洪·친박 당권 놓고 대결
집권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은 환호 일색이지만, 끝내 대등한 승부를 펼치지 못한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에는 좌절이라는 단어가 앞에 놓였다. 바른정당도 침울한 분위기에 휩싸여 있다. 패배한 당의 구성원들은 당의 생존을 위한 진로 찾기에 들어갈 것으로 보여 향후 정계 개편도 논의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은 야당 생활을 청산하고 국정 운영을 책임지고 뒷받침해야 할 여당의 위상으로 거듭나기 위해 변신을 시도한다.
추미애 대표는 9일 "새로운 대한민국 건설을 위해 민주당도 책임감 있는 여당으로서 다시 태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호남을 끌어안기 위해 국민의당과의 거리를 좁히는 한편 한국당과 바른정당 등 원내교섭단체와의 협치도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새로운 정부가 추진할 세부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야당의 협조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권력 주체는 바뀌었으나 국회는 여전히 여소야대 상황이어서 '운영의 묘'의 정치가 필요한 시점이 돼 버렸다.
한국당은 홍준표 후보가 대통령 파면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선전, 보수의 재기 기틀을 마련함에 따라 보수 진영 재편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홍 후보가 당권을 장악하게 되면 바른정당과의 통합 등 세력 확장에 나섬과 동시에 제1야당의 대표로서 내년 지방선거의 유리한 고지 점령을 위해 정부 여당 흔들기를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홍 후보의 당권 장악을 두고 친박(친박근혜)계가 반발하면 제1야당 내의 권력 싸움이 전개될 가능성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에게 호남을 내준 국민의당은 내우외환의 위기다.
지난해 총선에서 어렵게 확보한 정치적 기반을 내줬기 때문이다. 호남에서 안철수 후보의 득표율은 문 대통령의 절반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대선 패배에 대한 책임론으로 당이 한 차례 홍역을 치를 전망이다. 특히 정치권에선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향후 정계 개편 과정에서 당이 공중분해 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내년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당 소속 국회의원들이 여당 그늘에 몸을 의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호남 수성(守成)에 실패한 박지원 대표의 정치적 위상도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바른정당은 포스트 대선 이후 국회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하며 개혁 보수의 가치를 지키는 데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원내교섭단체 4개 정당(민주당'한국당'국민의당) 중 의석이 20석으로 가장 적지만, 강한 야당으로서 국회 운영과 협상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겠다는 것이다. 또 정계 개편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있을 경우 다른 정당과의 연대에도 가능성을 조심스레 열어 두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