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THAAD) 운영비용 부담논란과 관련해 '사용자 부담원칙'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권한대행은 4일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오찬간담회에서 "사드는 미국의 무기이고 사용도 미국이 한다"며 "무기는 기본적으로 쓰는 나라가 비용을 내는 것이기 때문에 미국이 쓴다면 미국이 내게 돼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사드 배치로 인한 부담이 국민에게 전가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도 밝혔다. 황 권한대행은 "국민에게 부담이 되지 않도록 무기(사드) 배치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무기를 배치하려면 부지가 있어야 하니 주재국에서는 땅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한·미 양국이 공동실무단을 만들어서 몇 달 동안 구체적으로 논의하면서 약속한 합의서가 있기 때문에 사드 비용을 누가 부담할지에 대한 논란은 없을 것"고 설명했다.
미국이 재협상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는 협상용 메시지에 불과하며 협상상대를 흔들어보려는 시도에 말려들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황 권한대행은 "아직 완전히 배치도 안 됐는데 벌써 무슨 재협상을 하느냐?"며 "재협상은 'if'(만약에)를 이야기하는 것인데 'if'는 이뤄질 수 없는 조건"이라며 "우리가 과민반응을 하면 취약해진다"고 말했다. 황 권한대행은 사드배치 과정에서 충분한 여론수렴 과정이 없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무기체계에 관한 결정이었기 때문에 모든 것을 공개할 수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