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제교류·협력 확대, 급할수록 기반 조성이 먼저다

입력 2017-04-24 00:05:00

사드 문제로 중국과의 무역 마찰이 커지자 대구경북이 중국 이외 국가와의 경제협력과 통상교류 확대 등 돌파구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주력 시장인 일본'대만'베트남과의 협력 관계를 더욱 다지는 한편 상대적으로 교류가 적은 아세안 국가와의 교류 확대 목소리가 날로 높아지는 현실에서 지역 통상구조 변화와 경제위기 대응책 마련을 서둘러야 할 시점이다. 시장 다변화 전략은 무엇보다 중국에 편중된 지역 경제구조를 바꾸는 기회인 동시에 지속 가능한 성장, 발전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대구시는 일본과의 협력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도쿄와 오사카, 후쿠오카 등 직항 노선이 연결된 5개 도시를 중심으로 통상교류를 넓혀나가고 문화'관광 등 다방면에서 협력 관계를 다진다는 계획이다. 최근 무역사절단 파견과 투자 유치 설명회 개최,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해 교류 기반을 확대한다는 방침은 올바른 방향 설정이다.

경북도의 경우 11월 호찌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를 계기로 베트남과의 통상교류 확대에 기대를 걸고 있다. 베트남이 동남아 한류 확산의 중심지라는 점을 활용해 현지에 경북도 통상투자지원센터를 열고 한류 우수 상품전 개최, 글로벌 청년 보부상 등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 중이다. 베트남을 아세안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적극 활용해 아세안 국가와의 교류 확대를 서둘러야 한다. 또 한국 방문 촉진 등을 위해 입국 제도 개선 등 국가적 지원책도 뒤따라야 한다.

2020년 외국인 방문객 4천만 명 유치를 목표로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선 일본의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재 일본 정부는 외국인 입국 절차 간소화 등을 서두르고 있다. 종전 중국 부유층에 국한된 복수 관광비자를 최근 중산층까지 확대 방침을 발표한 것만 봐도 문화'관광교류 확대가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짐작게 한다.

제3국과의 경제협력 확대는 눈앞의 이익만 생각해 건성으로 추진할 일은 아니다. 양국 관계나 상호 이익은 고려하지 않고 단편적이고 일회적 교류에만 매달리는 것은 오히려 마이너스다. 당장은 성과를 내지 못하더라도 꾸준히 관계를 넓혀가는 중장기 전략 등 차분한 접근법이 필요한 이유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