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청소년] 사망원인 자살 1위 그대로…음주·흡연율은 역대 최저

입력 2017-04-18 15:26:25

 청소년의 흡연과 음주 비율은 역대 최저로 떨어졌지만,건강관리를 위해 규칙적으로 운동하거나 아침 식사를 하는 비율도 감소했다.

 청소년의 사망원인 1위는 10년째 자살이지만 그 비율은 감소하고 있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전체 인구 중 청소년,특히 초등학생의 비율이 가파르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과 여성가족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7 청소년 통계'를 18일 발표했다.

 ◇ 46% '전반적 스트레스 느껴'…사망원인 1위 여전히 '자살'작년 청소년(13∼24세)이 스트레스를 느끼는 비율은 전반적인 생활 46.2%,가정생활 31.8%,학교생활 52.5%,직장생활 67.6% 등으로 나타났다.

 여성 청소년은 남성 청소년보다 스트레스를 느끼는 비율이 더 높았다.

 전반적인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여성 청소년은 52.5%였고,남성 청소년은 40.1%였다.가정·학교·직장생활에서도 여성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 비율이 더 높았다.

 2007년 이후 청소년의 사망원인 1위는 계속 자살이지만,그 비율은 다소 감소하는 추세다.

 2015년 9∼24세 청소년 인구 10만명당 사망원인은 자살(7.2명),운수사고(4.0명),암(2.9명) 순이었다.

 자살은 2009년 10.3명으로 최고점을 찍고서 꾸준히 감소해 2015년 비율은 2006년(6.4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중·고등학생의 흡연·음주율은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작년 중·고등학생의 흡연율은 6.3%로 전년보다 1.5%포인트 줄었다.음주율도 15.0%로 전년보다 1.7%포인트 감소했다.

 2006년 조사 대상을 고3까지 확대한 이후 가장 낮은 비율이었다.

 흡연율은 꾸준히 감소해 2013년 10% 이하로 내려왔으며,음주율도 10년 전 28.6%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었다.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아침 식사를 하거나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청소년의 비율은 감소했다.

 작년 청소년(13∼24세) 10명 중 6명(57.7%)은 아침 식사를 했고,7명(71.9%)은 하루 6∼8시간 잤다.규칙적 운동은 4명(35.0%)만 했다.

 특히 아침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청소년의 비율은 2년 전보다 각각 3.4%포인트,0.8%포인트 줄었다.

 특히 20∼24세 중 아침 식사를 한다는 이의 비율은 45.8%로,13∼19세(67.6%)보다 크게 낮았다.

 작년 초등학교 6학년,중·고교 3학년의 체격을 검사한 결과 중학교 3학년 여학생만 그대로였고,모두 몸무게가 전년보다 늘었다.

 초·중·고 남학생 몸무게는 48.2㎏,63.7㎏,70.0㎏으로 전년보다 각각 1.6㎏,1.4㎏,0.6㎏ 늘었다.여학생 몸무게는 45.5㎏,54.4㎏,57.2㎏으로 초등학생이 0.3㎏,고등학생이 0.1㎏ 늘었다.

 초·중·고 남학생 키는 152.1㎝,170.0㎝,173.5㎝였고 여학생 키는 152.3㎝,159.8㎝,160.9㎝였다.

 초등학교 6학년의 키는 전년보다 남성 0.7㎝,여성 0.4㎝ 커졌다.다른 조사 대상은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 69% 가족 관계 '만족'…"부모 부양은 모든 자식이 함께"올해 청소년(9∼24세) 인구는 924만9천명으로 총인구의 18.0%를 차지했다.

 청소년의 인구 비율은 1978년 정점인 36.9% 이후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2060년에는 11.1%까지 떨어질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총인구는 2031년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할 전망이지만,청소년 인구 비율 감소는 이미 '현재진행형'이다.

 학령(6∼21세)인구는 846만1천명으로 총인구의 16.4%를 차지했다.

 학령인구는 2027년까지 약 150만명이 줄어 696만6천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특히 초등학교(6∼11세) 학령인구 구성비는 1970년 17.7%에서 올해 5.3%로 12.4%포인트 줄어 중·고등·대학교 학령인구보다 감소 폭이 컸다.

 국제결혼가정이나 외국인가정 학생을 의미하는 다문화가정 학생 수는 작년 9만9천명으로 전년보다 20.2% 증가했다.

 전체 학생 수가 감소하는 상황 속에서 다문화가정 학생 수는 반대로 늘어났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구성비는 초등학생(74.6%),중학생(15.2%),고등학생(10.1%) 순이었다.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결과 작년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내 청소년의 73.9%는 '나는 한국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이 조사는 2011년 이들이 초등학교 4학년일 때 패널을 구축해 시작한 것이다.'한국사람'이라는 응답은 2011년 73.0%에서 2013년 75.0%로 가장 높았다가 2015년 73.7%로 다소 감소하고서 작년 다시 올랐다.

 통계청은 작년 청소년(13∼24세)을 대상으로 부모의 노후 생계를 누가 돌봐야 하는지를 물었다.

 그 결과 '가족과 정부·사회가 함께 돌봐야 한다'는 응답이 46.5%로 가장 많았고,'가족'(34.8%)이 뒤를 이었다.'부모 스스로'는 14.9%였다.

 자녀 중 누가 부모를 부양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모든 자녀'가 76.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자식 중 능력 있는 자'(15.9%),'아들'(3.6%),'장남'(2.4%),'딸'(1.8%)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 성별로 보면 '아들'이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은 남성(6.6%)이 여성(0.7%)보다 많았다.'모든 자녀' 응답 비율은 여성 청소년이 79.5%로 남성보다 6.5%포인트높았다.

 청소년은 전반적인 가족 관계에 대해 68.7%가 '만족'이라고 응답했다.부모와의관계는 70.7%,형제·자매와의 관계는 66.2%가 '만족'이라고 응답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