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17일 박근혜(65) 전 대통령과 우병우(50)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을 일괄 기소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박 전 대통령의 뇌물액이 기존에 확인된 삼성그룹 지원액 298억원(약속액 433억원)에서 롯데 또는 SK그룹 지원액이 추가돼 불어날 가능성이 점쳐진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박 전 대통령 기소를 하루 앞둔 이날 수사팀 전원이 출근한 가운데 장시간 회의를 진행했다.
그 결과 핵심 현안인 우 전 수석 사건과 박 전 대통령 뇌물죄 관련 공소사실을 이런 방향으로 정리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당초 박 전 대통령과 우 전 수석을 17일 일괄 기소하면서 지난 6개월간 정국을 뒤흔든 '최순실 국정 농단' 수사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이었다.
하지만 12일 우 전 수석 구속영장 기각이라는 돌발 변수를 맞닥뜨리며 미세한 기류 변화가 감지됐다. 우 전 수석을 이대로 불구속 기소할 경우 '부실 수사' '면죄부 수사' 논란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기저에 깔렸다.
검찰은 이후 박 전 대통령만 우선 기소하고 우 전 수석 수사를 이어가는 방안, 애초 계획대로 두 사람을 일괄기소하고 수사를 종료하는 방안 등을 두고 고심해왔다.
검찰은 고민 끝에 박 전 대통령과 우 전 수석을 함께 재판에 넘기기로 방침을 정했다. 내부에서도 일괄기소 의견이 우세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대통령의 뇌물죄 관련 공소사실도 수뢰액 증가 등 일정 부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박 전 대통령이 삼성그룹 총수 일가의 경영권 승계 작업을 돕는 대가로 수수한 298억원(약속액 433억원) 외에 롯데'SK 추가 지원액의 정리 논거를 가다듬고 있다. 강요에 의한 뇌물 성격이라는 취지다.
신동빈(62) 롯데그룹 회장과 최태원(57) SK그룹 회장은 작년 2, 3월 각각 박 전 대통령을 독대한 뒤 각종 경영 현안 해결을 대가로 '비선 실세' 최순실(61) 씨가 배후에 있는 K스포츠재단에 거액을 추가 지원하거나 지원을 약속한 의혹을 받는다.
이 가운데 70억원 추가 지원을 집행한 신 회장은 뇌물공여 혐의로 불구속 기소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K스포츠 측에 80억원을 추가 지원해 달라고 요청받았으나 최종적으로 자금을 건네지 않은 최 회장은 불기소 처분하는 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이에 따라 박 전 대통령의 수뢰액이 불어날 가능성도 커졌다는 분석이다.
롯데 70억원이 뇌물 액수로 확정되면 박 전 대통령의 수뢰액도 368억원(약속액 포함 503억원)으로 늘어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