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녹음 현상에 어획량 감소, 해양수산정책은 일관성 없어…양식 어민들 속수무책 한숨
지구 온난화 현상에 바다 생태계가 뒤바뀌면서 전 세계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바짝 긴장하고 있다. UN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인 IPCC도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는다면 해수면 상승'온도 변화에 전 인류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여기에 우리나라 어업도 큰 위기를 맞았다.
국립수산과학원 등에 따르면 바다 온도가 급속도로 따뜻해지면서 남쪽에서만 잡히던 참다랑어 등 어종이 동해에서 잡히는가 하면, 찬 바다에 살던 명태 등 물고기는 자취를 감췄다. 기상청 등의 조사에 따르면 해수면 온도 상승률은 2010년까지 20년간 전 세계 평균 표층 수온 온도보다 4배 높은 0.81도였고, 앞으로 이런 추세는 지속 또는 가속화 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어업 환경이 머지않은 미래에 지금과 전혀 다른 양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수면 온도 상승에 양식장 어민들도 울상을 짓고 있다. 바다가 산성화되고 있는 탓에 갯녹음 현상이 가속화돼 바다를 아무것도 살 수 없는 사막으로 만들고 있다. 갑각류나 어패류 등을 양식하는 어민들은 하소연할 곳도 찾지 못하고, 한숨만 쉬고 있다. 자구책을 마련하려고 해도 자연의 변화 앞에서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는 처지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은 이런 변화를 뒤따라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산 분야에 평균 9년 이상 종사한 전문가들은 정부의 해양수산 정책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봤다. 정권의 입맛대로 바뀌는 일관성 없는 정책에 지칠 대로 지쳤다는 반응도 보였다. 또 동'서'남해 각각의 수자원을 조사'분석하는 대학 또는 전문기관을 국가기관 말고는 찾을 수 없다는 점도 정부의 무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최근 정부가 발주한 조사용역이 대학기관에 내려오고 있지만, '최소한'의 예산에 기관들은 허리띠를 졸라맨 채 조사'분석을 하고 있다. 이런 정부 정책이 바탕이 되다 보니 우리나라에는 해수면 온도 상승에 대응하도록 분석할 만한 기초 자료도 태부족이다.
A대학 해양수산 분야 한 교수는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에 둘러싸여 있고, 먹거리도 어업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며 "하지만 정부의 정책을 보면 아직도 바다를 무시하고 있는 것 같다. 그렇지 않고서는 바다의 변화에 이렇게 대응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어민 김모(62) 씨는 "해마다 바다 환경이 변하고 있다는 것을 몸으로 느끼고 있지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바다 온도가 변하는 데 따라 어종이 어떻게 달라질지 예측할 수 있다면 어민들의 피해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