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여간 바닷속에 가라앉아있던 세월호가 마침내 물 위로 그 모습을 드러냈다. 침몰한 지 1073일 만의 일이다. 23일 오전 7시 현재 바지선과 연결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해양수산부는 "23일 오전 3시 45분쯤 스태빌라이저로 추정되는 세월호 구조물 일부가 육안으로 수면 위에서 관측됐으며, 오전 7시 세월호와 바지선간 1차 고박을 위해 근로자가선체 위에서 작업 중"이라고 밝혔다. 스태빌라이저는 선박 양 측면에 날개 형태로 설치돼 좌우 균형을 잡아주는 장치다. 끌어올려진 세월호는 안전지대에 있는 반잠수식 선박으로 옮겨 실어 목포신항으로 이동하게 된다. 해수부는 이날 오전 11시까지 세월호 상단을 수면 위 13m까지 인양할 예정이다. 이어 잭킹바지선에 고박한 뒤 안전지대에 있는 반잠수식 선박으로 옮겨 싣는 후속 인양작업을 통해 목포신항으로 이동시킬 예정이다. 해수부는 이 모든 작업을 소조기와 맞물려 끝낸다는 계획이다.
선체가 수면위로 모습을 드러내긴 했지만 아직까지 인양 현장 바깥에서는 맨눈으로 이를 확인하긴 어렵다. 인양 현장에서 약 1마일(1.6㎞) 떨어진 작업 지원선 '센첸하오' 선상에서도 세월호 우측면은 손가락 한 마디 수준의 검은 윤곽으로만 보이는 상황이다.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은 센첸하오호 보다 더 먼 곳에서 현장을 지켜보고 있다.
해수부가 공개한 인양현장 촬영 영상을 보면 잭킹바지선 2척 사이 물 위로 일부부식된 것으로 보이는 직사각형 모양의 철제 구조물이 드러나 있다. 해수부는 "오전 4시 47분 세월호가 해저면에서 높이 약 22m에 도달했다"면서 "본체 일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해수부와 상하이샐비지는 전날 오후 8시 50분부터 본 인양에 들어갔다. 해상 기상 여건이 좋고,밀물과 썰물의 수위 차가 가장 작은 소조기가 24일 끝나는 점을 고려해 밤샘 인양작업을 벌였다. 시간당 3m 안팎으로 인양줄(와이어)을 끌어당기면서 전날 오후 11시 10분 세월호 선체가 해저면에서 약 9m높이까지 올라왔고, 오전 3시에는 선체를 해저면에서 약 18.2m까지 끌어올려 수면 위로 부상하기까지 불과 3.8m를 남겨뒀으며, 45분 뒤 결국 선체 일부가 물 위로 모습을 드러냈다.
인양 작업이 속속 진행되고 있는 이날 오전 현장 날씨는 물결이 전날 밤보다 약간 더 강하게 일지만 파고가 그리 높진 않은 상황이다. 바람이 조금 더 쌀쌀해졌지만,여전히 잔잔한 상태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인양 작업이 무리 없이 이뤄지는 것으로 알고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세월호가 가라앉은 맹골수도 해역은 조류가 빠르고 급변하기로 악명 높은 만큼 100% 인양 성공을 점치기는 어렵다. 약 3년 만에 선체 인양을 앞두고 모두가 숨죽인 채 인양 성공을 기원하고 있다.
혹시나 약한 물결이라도 인양 작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 현재 잭킹바지선 반경 1마일(1.6㎞) 내 모든 선박 항행은 금지된 상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