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선 정국에서 대구'경북이 해야 할 일

입력 2017-03-14 04:55:01

이제부터 본격적인 대통령 선거 국면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 헌법에 따라 60일 이내 후임자를 선출해야 하므로 새 정부가 들어서기까지 2개월이 채 남지 않았다. 주변 여건과 정치 환경을 볼 때 대구시와 경북도, 지역 정치권이 과거처럼 정치판에 휘둘려 시간을 낭비할 상황이 아니다. 대선 공간을 최대한 활용해 지역 현안을 챙기고 해결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대구'경북의 최대 현안은 K2'민항의 통합신공항 이전이다. 박근혜정부가 추진하다가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한 사업인 만큼 새 정부가 들어서면 정책 방향이 어떻게 바뀔지 예상하기 어렵다. 국방부와 건설교통부가 이전 후보지 선정을 새 정부 출범 이후로 미루고 있는 것을 보면 불안하기 짝이 없다. 부산이 김해공항 활성화를 위해 대선공약화와 함께 통합신공항 무용론을 내세우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통합신공항 이전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유력 후보들의 대선공약화가 필수적이다. 군공항이전특별법에 따른 순리적인 이전 방식이라고 하더라도, 대선공약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중앙정부와 사사건건 마찰을 빚을 수 있다. 설령 통합신공항이 이전하더라도, 기대와 다르게 관문공항은커녕 '고추 말리는 공항'으로 전락할지도 모른다. 대구시와 경북도, 지역 정치권은 공항 문제를 최대한 부각시켜 지역 이익을 극대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경북도는 원자력해체연구원(원해연)의 경주 유치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지난해 대구'경북과 부산'경남의 대립으로 원해연 부지 선정이 중단됐지만, 새 정부 출범 이후 재논의되는 만큼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반원전 정책을 앞세울 정부가 들어설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경북도가 추진해온 '원자력 클러스터' 정책은 접어둬야 함은 물론이다.

대구시와 경북도, 지역 정치권은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나름의 전략과 전술을 짜야 한다. 예년처럼 대선 후보에게 수십 개를 나열해 제시하기보다는 중요 현안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부단히 요구하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대선 정국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지역민의 삶이 달라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