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과학탐구] 내년 개정교육과정 과학 이수 어떻게?

입력 2017-03-13 04:55:06

중학교 3학년 학부모입니다. 내년부터 고교서 배우게 되는 2015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이수와 '통합과학'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기대연 멘토=2015개정교육과정은 '공통과목'을 필수적으로 이수하고, 진로와 적성에 따른 다양한 '선택과목'과 '전문교과'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과학과정은 고등학교 1학년까지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으로 이루어진 공통과목을 필수로 이수하고, 고2부터는 자신의 진로에 따라 선택과목과 '전문교과Ⅰ'을 이수하면 됩니다.

선택과목은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교과별 학문의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일반선택(물리학I, 화학I, 생명과학I, 지구과학I)과 교과별 심화학습, 실생활 체험학습 등이 가능한 진로선택(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심화된 내용을 학습하기 위해 전문교과I(고급과학과 과학실험 과목)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의학 또는 생명과학 계열을 희망하는 학생의 경우, 1학년 때 공통과목(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과학, 통합사회, 과학탐구실험)을 이수한 후 과학Ⅰ군을 수강하면 됩니다. 이후 과학 교과군의 모든 'Ⅱ' 과목을 선택할 필요는 없지만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인 만큼 생명에 관계되는 현상을 공부할 수 있는 생명과학Ⅱ, 생명윤리의 중요성과 인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위한 생활과 윤리, 철학 등의 공부를 통해 윤리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도 있습니다. 이후 전문교과Ⅰ군의 고급생명과학, 생명과학실험 등을 이수할 수도 있습니다.

통합과학은 문'이과 칸막이 없는 교육과 인문'사회'과학기술에 대해 기초 소양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기존 과학과의 구성 영역인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 등을 통폐합하거나 융합하여 다시 물질과 규칙성, 시스템과 상호 작용, 변화와 다양성 및 환경과 에너지의 영역으로 재구성했습니다. 단원의 내용으로는 ▷물질과 규칙성: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자연의 구성 물질 ▷시스템과 상호작용:역학적시스템, 지구 시스템, 생명시스템 ▷변화와 다양성:화학변화, 생물 다양성과 유지 ▷환경과 에너지:생태계와 환경, 발전과 신생에너지 등을 핵심 개념으로 잡고 있습니다.

이처럼 '통합과학'은 초'중학교 과학 및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 그리고 고등학교 2, 3학년 4개의 I과목, 4개의 Ⅱ과목,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등의 과목과 긴밀한 연계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 통합과학은 다양한 탐구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학생 참여형 수업 즉, 탐구토론학습, 협력학습, 실험실습, 프로젝트학습, 조사발표 등이 강화될 것입니다. 이로 인해 평가 방법은 수업과 연계된 과정 중심 수행평가와 자기평가, 동료평가, 관찰평가, 포트폴리오 등이 더욱 많이 활용될 예정입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