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안전파크, 2·18추모공원 될까

입력 2017-02-16 04:55:02

재단 출범 후 명칭 변경 추진, 주변 상인과 만나 의사 타진

대구지하철 참사 추모공원 조성 문제가 재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이해 당사자 간 의견이 엇갈려 합의 도출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2'18안전문화재단은 15일 대구시 관계자와 함께 팔공산상가번영회(이하 상인회) 관계자를 만나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이하 테마파크)를 추모공원으로 명칭을 바꾸는 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는 지난해 출범한 재단이 유족들의 오랜 염원인 추모공원 조성을 위해 테마파크 명칭 변경 등을 재검토하자 이에 반발한 상인들의 요구로 마련됐다.

대구지하철 참사를 계기로 설립된 테마파크는 팔공산 주변 상인과 유족 간 갈등의 골이 깊은 곳이다. 참사 이후 유족들은 희생자 넋을 기릴 수 있는 추모공원 설립을 시에 요구했지만 입지 선정이 쉽지 않았다. 중구 수창공원, 수성구 삼덕동 일대, 달성군 화원유원지 등이 후보지로 거론될 때마다 해당 지역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상권 침체와 지가 하락을 우려해서다.

결국 2005년 시와 유족들은 팔공산집단시설지구 내 시유지에 테마파크를 건립하고 안전 상징 조형물을 설치하기로 합의하면서 추모공원 문제는 일단락됐다. 팔공산 주변 상인들도 추모관(유골)은 사업에서 제외한다는 조건으로 이를 수용했다.

하지만 뚜렷한 추모 공간이 없던 유족들은 테마파크를 '추모공원'으로, 조형물을 '위령탑'으로 이름을 바꾸고 추모행사를 치를 수 있도록 시에 요구, 팔공산 주변 상인들과 마찰을 빚었다. 그러던 중 2009년 이른바 '유골 매장' 사실이 폭로되면서 상인, 유족, 시가 얽히고설킨 민'형사 소송이 오갔다.

한동안 잠잠했던 추모공원 문제가 다시 거론된 것은 지난해 재단이 출범하면서부터다. 시와 재단은 참사 이후 14년이 지나 상생 발전 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적잖았다. 시 관계자는 "상인들은 추모행사를 하면 영업에 방해가 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듯하지만 시간이 꽤 흘렀기 때문에 타협할 여지가 있지 않겠느냐"라며 기대감을 보였다.

하지만 상인들은 반대 뜻을 분명히 했다. 상인회 관계자는 "시와 재단에서 다시 한 번 추모공원화를 추진한다는 소식을 듣고 만남을 요구했다"며 "이런 문제라면 다시 만나고 싶지도 않다는 뜻을 분명하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태일 재단 이사장은 "오늘은 재단 설립 이후 처음으로 당사자들이 만나 서로 의사를 확인한 자리였다"며 "재단은 상인들이 원치 않으면 추모공원 사업을 진행할 생각이 전혀 없다. 해묵은 문제이지만 시간을 두고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