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61.3%만 홈페이지 보유, OECD 33개 회원국 중 공동 28위

입력 2017-02-14 04:55:05

5년 동안 거의 제자리걸음…평균비율 76.2%보다 낮아

한국 기업들의 홈페이지 보유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OECD의 디지털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한국의 기업 홈페이지 보유 비율은 61.3%로 비교 대상 33개국 중 헝가리와 함께 공동 28위에 그쳤다. 이런 수준의 기업 홈페이지 보유 비율은 OECD 평균(76.2%)보다 현격히 낮은 것이다.

이 조사는 종업원 10명 이상인 제조업과 비(非)금융 시장 서비스업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기준 시점보다 5년 전인 2009년 한국 기업의 홈페이지 구축 비율은 59.7%로 비교 대상 32개국 중 24위였고, 당시 OECD 평균은 69.3%였다.

OECD 평균이 급속히 오른 5년간 한국은 거의 제자리걸음이어서 순위가 더 떨어졌다.

2014년 기준 한국 기업의 홈페이지 구축 비율을 기업 규모별로 보면 종업원 수 10∼49명인 기업 58.0%, 종업원 수 50∼249명인 기업 77.7%, 종업원 수 250명 이상인 기업 87.7%였다. OECD 평균은 각각 72.6%, 87.7%, 93.6%였다.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이나 통신서비스의 속도는 한국이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ICT를 비즈니스에 실제로 활용하는 정도를 보여 주는 기업의 홈페이지 보유 비율은 오히려 매우 낮은 편이라는 얘기다.

한 소프트웨어개발 중소기업 대표는 "우리나라에서 비즈니스는 직접 방문이나 전화로 하는 것이며, 이메일로는 하지 않는다는 인식이 매우 강하다"며 "기업 입장에서는 홈페이지가 실제로 도움이 안 되는 경우가 많고, 만들었더라도 관리를 잘 하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