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업, 中 사드 보복 직격탄] 화장품 23억원어치 수출 계약, 거래 불투명

입력 2017-02-10 04:55:02

한국 내 사드 배치 결정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이 지역 자동차 부품업체로까지 번질 조짐이다. 한국 완성차
한국 내 사드 배치 결정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이 지역 자동차 부품업체로까지 번질 조짐이다. 한국 완성차'부품 제조업체에 대한 중국 정부의 규제 강화와 눈치 주기 등이 심화하는 탓에 납품이나 투자 등의 원활한 기업 활동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사진은 보도 내용과 관련 없음) 매일신문 DB

대구의 화장품업체인 H사는 작년 5월 중국에 한방샴푸 등 총 200만달러(약 23억원)어치의 제품을 5년간 수출하는 계약을 바이어와 체결했다. 하지만 계약 수개월 만에 중국 측의 '사드 보복'으로 수출 거래가 불투명해졌다. H사가 작년 하반기 중국에 보낸 첫 해분 5천만원어치 중 2천만원어치는 중국 땅에 들어가지조차 못했다. H사 관계자는 "중국 선전의 세관에서 '통관 규정이 강화됐다'며 3개월가량 일방적으로 물품을 묶어놨다. 앞으로 제품을 어떻게 보낼지 막막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정부의 전방위적인 사드 보복으로 기업들의 대(對)중국 무역로가 경색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으로 지역 중소기업들의 속앓이가 깊어지고 있다.

새해 초 중국이 한국 화장품에 대해 무더기 수입 불허 지침을 내린 소식이 알려진 가운데 중국 정부의 위생허가를 얻어야 하는 화장품'식품 업체는 물론 자동차 부품업체 등 지역 산업계 전반으로 긴장감이 퍼지고 있다.

지역에서도 중국의 사드 분풀이를 체감하는 기업들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중국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CFDA)의 위생허가를 받아야 수출할 수 있는 화장품업체는 직격탄을 맞은 분위기다.

H사 경우 이미 작년 4월에 한방샴푸와 폼클렌저 2개 품목의 위생허가를 CFDA에 신청했지만, 1년이 다 되도록 감감무소식이다. H사 측은 "중국 측에서 '검사 항목이 늘었다'며 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다. 허가가 나야 정식 수출이 가능한데 걱정이 태산이다"고 한숨을 쉬었다.

대구의 또 다른 화장품 업체인 A사는 지난해부터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 공을 들였지만, 사드 여파로 진출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중국 CFDA의 강화된 위생허가 때문이다.

A사 관계자는 "예전에는 6, 7개월이면 위생허가가 났는데, 요즘에는 1년 반 걸린다는 얘기까지 나온다"면서 "또 중국 현지 보세구역에서는 위생허가를 받지 않은 제품의 유통도 가능했는데, 앞으로는 이를 금지한다고 들었다"고 걱정했다. 또 "역직구를 통해 중국으로 직접 판매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한국화장품은 사드 보복으로 큰 타격이 예상된다"고 했다.

식품업체도 비슷한 상황이다.

대구의 Y사는 3년 전부터 공을 들인 끝에 지난해부터 중국에 즉석 떡볶이를 본격적으로 수출하기 시작했다. 한 해 동안 10여 차례 중국 현지의 식품 박람회 등에 참여하면서 적극적으로 판로를 개척한 덕분에 중국 수출 물량이 전년보다 70%나 늘었다. 하지만, 사드 보복이 발목을 잡았다.

Y사 관계자는 "작년 11월쯤 중국 세관에서 제품을 통관시켜주지 않아 2억원 상당의 손해를 입었다. 중국 바이어가 주문은 해놓고 가져가지 않은 물량도 5천만원 상당"이라면서 "비단 식품뿐만 아니라 중국에 수출하는 업체 전반에 타격이 우려된다. 외교 문제로 빚어진 상황에서 기업은 마땅한 대응 수단이 없다"고 답답해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