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는' 황교안 위기감…야권, 강력 견제구

입력 2017-02-08 04:55:02

국회 출석 요구·임명 권한 변경

권성동 바른정당 국회의원이 7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 등 고위공직자 범죄에 대한 특별검사 수사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권성동 바른정당 국회의원이 7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 등 고위공직자 범죄에 대한 특별검사 수사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검찰 민주화' 방안을 마련, 관련 법률 제'개정안을 발의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들이 7일 국회 본회의장 입구에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들이 7일 국회 본회의장 입구에서 "청와대 압수수색 허용하라" "특검시한 연장하라"는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야권이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대선 불출마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보수층 쏠림 현상이 일자, 황 대행의 국회 출석을 요구하는 한편 임명 권한을 일부 변경하는 등 본격적인 견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황 대행은 더불어민주당과 지난해 말 '1월 국회는 참석하는 대신 2월 국회에는 오지 않아도 된다'는 요지로 일종의 구두계약을 맺은 것으로 전해졌지만, 최근 국민의당은 물론 민주당도 황 대행의 2월 국회 참석을 종용하고 나섰다.

야권은 2월 국회에서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와 경제, 안보 위기 등 전방위에 대해 황 대행을 비롯한 정부의 실정을 강력히 규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민주당 국회의원 10여 명은 6일 국무총리 후보자 신분으로도 대통령에게 장관 후보자를 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현행법은 국무총리만 국무위원을 제청하게 돼 있지만, 이를 고쳐 국무총리 후보자 신분에서도 할 수 있도록 개정한 것이다. 인수위 기간이 없는 조기 대선의 경우 국무총리직을 겸하고 있는 황 대행이 차기 정부 장관들을 제청할 권리를 갖기 때문에 논란의 소지를 미리 없애려는 야권의 포석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