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압 등 다르면 수리도 어려워
해외로부터 가전제품을 직접구매(직구)할 때 가격은 최대 35% 저렴하게 살 수 있지만 사후서비스(AS)를 받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국내에서 판매 중인 해외브랜드 중소형 생활가전 5종의 국내외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4종의 직구 가격이 국내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브랜드 중소형 생활가전 가격이 상대적으로 고가임을 고려해 면세한도(150달러, 미국은 200달러, 이하 미화 기준)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관'부가세 부과 대상인 2개 제품 모두 해외구매가(해외판매가에 배송대행료를 포함한 실제 구입가)가 국내판매가보다 각각 21.4%, 35.1% 낮았다.
면세한도 이내인 3개 제품 중 2개의 해외구매가가 국내판매가보다 각각 4.7%, 22.0% 저렴했고, 1개는 해외구매가가 국내에 비해 53.8%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10개 중 6개 브랜드가 AS를 제공하지 않아 구매 시 주의가 필요했다. 소비자원이 이번에 가격을 비교한 브랜드를 포함한 10개 브랜드의 해외구매 제품 국내 AS 정책을 조사한 결과, 10개 중 6개가 국내 AS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10개 중 4개 브랜드(네스프레소'WMF'돌체구스토'일렉트로룩스) 제품은 해외 직구를 했더라도 국내 AS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AS를 제공하는 브랜드의 제품이라도 정격 전압, 주파수, 플러그 등 전기적 사양이 국내 기준(220V'60Hz)과 다르다면 수리가 어려울 수 있다.
해외구매 제품의 국내 AS를 지원하지 않는 다이슨, 드롱기, 발뮤다, 스메그, 켄우드, 키친에이드 등 6개 브랜드는 국내에 유통되는 가전제품 및 수리용 부품이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따라 국내 전기안전 기준에 맞춰 생산'유통되므로 해외 직구 제품은 국내 AS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