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카테고리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모바일 시장은 매년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지나친 경쟁으로 인해 수천 개의 앱이 운영을 중지하는 것도 현실이다. 따라서 앱 서비스 경쟁력은 물론 꾸준한 수익이 발생되어야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노티바(알림창) 브라우저를 서비스하고 있는 (주)허블은 2015년 6월에 정식 서비스를 하여 DAU 500만, 연 매출 60억원을 달성하는 성과를 이뤘다고 밝혔다.
허블은 새로운 개념의 모바일 매체형 네트워크 광고플랫폼으로 노티바(알림창)를 활용한 브라우저가 핵심 서비스이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사와 전략적 제휴를 맺어 허블 라이브러리를 연동하게 되면 허블 브라우저가 설치된다. 이때 설치된 브라우저를 통해 DA(배너광고) 및 SA(검색광고)가 노출되면 수익이 발생되는데 이 수익을 애플리케이션 개발사와 나누는 방식이다.
황고연 대표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사는 APP을 통해 꾸준한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 하지만 모바일 APP의 라이프 사이클은 상당히 짧은 편. 기간이 흐르면 수익이 감소하게 되고 운영의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IN-APP광고를 많이 노출하려고 해도 광고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유저들은 사용에 불편을 느끼고 시간이 지날수록 서서히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발사의 서비스 영역은 간섭하지 않으면서 꾸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허블과 제휴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사들과 서로 협업하면서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허블은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서비스 강화를 위한 검색엔진고도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황 대표는 "검색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애드테크 플랫폼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모바일 시장의 화두는 애드테크 기반의 정밀화된 유저 분석이기에 자체 기술력으로 광고 효율 극대화를 위해 프로그래매틱 기법을 활용하여 빅데이터 분석 후 가공하여 광고주가 원하는 유저를 정밀 분석하여 런칭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국내 게임사와 공동 투자하여 허블은 중국 현지에 공동 법인을 설립하였고, 중국에서 서비스 중인 게임을 허블과 연동하여 배포할 예정이다. UI 및 컨텐츠 내용은 중국 현지에 맞게 리뉴얼했으며, 브라우저 기능도 업그레이드 했다. 황 대표에 따르면 브라우저 기본기능인 검색, 보안, 반응속도, 번역 등은 갖추었으며, 차별화된 기능으로는 SNS기능이 있다. 브라우저 내에서 댓글을 입력할 경우 허블의 모든 유저는 해당 댓글을 확인 할 수 있다. 위치 기반을 활용하여 맛집에서 찍은 사진을 업로드 하여 공유하기를 클릭하면, 지인에게 공유되어 활발한 SNS를 할 수 있도록 제공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황 대표는 "허블의 핵심 서비스 모델은 노티바형 모바일 브라우저이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사와 소통을 통해 개선할 점과 보완할 점을 찾을 것이고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유저에게는 유용한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안내하고 향후에는 결제, SNS 등을 완벽하게 구현하여 질 높은 서비스를 하고자 노력할 것이다."고 포부를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