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대 수시모집에서 일반계 고등학교 합격자 비율이 지난해보다 떨어져 절반을 밑돌았다.
반면에 과학고, 영재고, 외국어고·국제고 등 특목고 비중은 일제히 뛰어올랐다.
서울대는 2017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지역균형선발전형과 일반전형으로 2천270명, 정원 외 기회균형선발특별전형I으로 164명 등 총 2천434명을 선발했다고 15일 발표했다.
합격자 중 일반고 출신은 1천193명으로 전체의 49.0%를 차지했다.
서울대 수시 합격자 중 일반고 비율은 2013학년도까지 50∼55%였다가 2014학년도 46.3%로 크게 떨어진 이후 2015∼2016학년도에는 50.6%를 기록해 과반을 회복했다.
과학고, 영재고, 외국어고, 국제고 등 특수목적고등학교의 비율은 일제히 올랐다. 자립형 사립고(자사고) 비율과 자립형 공립고(자공고) 비율은 다소 떨어졌다.
자사고 비율은 지난해 14.2%에서 올해 13.1%, 자공고 비율은 3.8%에서 3.4%로 줄었다.
지난해 4.4%를 기록했던 과학고는 6.0%로 크게 뛰어올랐다. 영재고는 8.4%에서 9.6%, 외국어고는 8.7%에서 9.0%, 국제고는 1.7%에서 1.8%로 올랐다.
입학본부는 "2016학년도 전형결과와 비교할 때 유의미한 변화는 없다"며 "학생부종합전형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서울대 수시체계가 안정화하는 것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전형별로 보면 지역균형선발전형은 전체 합격자 681명 중 517명(86.6%), 일반전형은 1천688명 중 550명(32.9%)이 일반고 출신이었다. 정원외전형인 기회균형선발특별전형Ⅰ은 합격자 164명 중 126명(76.8%)이 일반고에서 나왔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888명(36.8%)으로 합격자를 가장 많이 냈다. 이어 시 843명(35.0%), 광역시 539명(22.3%), 군 142명(5.9%)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학생이 1천294명(53.2%), 여학생이 1천140명(46.8%)이다. 지난해보다 남학생 합격자가 1.7%포인트 줄고 여학생 합격자는 그만큼 늘었다.
전국적으로는 지난해보다 22개교 많은 800개교에서 서울대 합격생을 배출했다. 군, 도서지역 학교를 포함해 최근 3년 동안 합격생이 없었던 일반고 중 90개 학교에서도 합격생이 나왔다.
수시모집 합격자 등록은 19일부터 21일까지다. 지역균형선발전형과 일반전형에서 미등록 인원이 있으면 22일 충원합격자를 발표한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