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3일(현지시간) 친(親)러시아 성향의 석유업계 거물인 렉스 틸러슨 엑손모빌 최고경영자(CEO)를 초대 국무장관에 지명함으로써 조각 작업을 사실상 완료했다.
15개 부처장관 가운데 국무'국방'재무장관 등 11개 부처장관 지명자의 인선을 마무리했으며 곧 에너지'내무'농무'보훈장관 등 4곳도 마저 채워 내각 구성을 끝낼 것으로 알려졌다.
비서실장과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과 수석전략가, 국가경제위원장 등 백악관 핵심 요직의 인선도 종료됐다.
지난달 8일 미국 제45대 대통령에 당선된 이래 한 달여 만이다.
트럼프 당선인의 초대내각과 백악관 인선의 특징은 '워싱턴 아웃사이더'와 군인'억만장자의 득세로 요약된다.
'아웃사이더' 돌풍을 일으켜 백악관에 입성한 트럼프 당선인은 정권을 이끌 핵심 인물들을 기성 주도세력인 워싱턴 정가와 동떨어진 인물 위주로 발탁해 정치 혁신을 예고했다.
특히 국정의 두 축인 안보 및 경제라인에 군인과 월스트리트 출신 등 공직 경험이 없는 현장 전문가가 전진 배치됐다.
안보 총사령탑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비롯해 국방장관, 국토안보장관 등 국내외 안보라인을 강경 퇴역 장성들이 사실상 장악했으며,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과 재무'상무장과 경제라인도 공직 경험이 없는 월스트리트 인사들로 채워졌다.
'반(反)오바마' 인사들의 약진이 눈에 띄었으며 2명의 여성이 조각 명단에 포함됐다.
트럼프 당선인이 '보통 미국인'의 대변자를 자처했지만, 총 재산규모가 14조원이 넘는 '가질리어네어(gazillionaire'초갑부) 내각'이 꾸려진 점도 매우 역설적인 대목이다.
장관 지명자 11명 가운데 9명이 백인이며 1명은 흑인, 1명은 대만계다. 백악관 고위직까지 포함하면 임명이 완료된 17명 가운데 13명이 백인이며, 히스패닉은 한 명도 없다.
특히 국무'국방'법무'경제 등 핵심 장관 4인방이 모두 백인 남성으로만 이뤄진 것은 조지 H.W.부시 초대내각이 출범한 1989년 이후 처음이라고 CNN은 지적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이번 조각 인선을 놓고 "기성 정치권의 오물을 빼기는커녕 자신의 시궁창을 새로 만들고 있다"는 안보전문가의 지적이 제기되는 등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기류에 따라 틸러슨 국무장관 지명자 등 공화당 내부에서도 자격 논란이 이는 이들이 상원 인준청문회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확정된 각료 지명자 명단을 보면 ▷국무장관 렉스 틸러슨 엑손모빌 최고경영자(CEO) ▷법무장관 제프 세션스 상원의원(앨라배마) ▷국방장관 제임스 매티스 전 중부사령관 ▷주택도시개발장관 벤 카슨 신경외과의사 ▷보건복지장관 톰 프라이스 하원의원(조지아) ▷국토안보장관 존 켈리 전 남부사령관 ▷재무장관 스티븐 므누신 '듄 캐피널 매니지먼트' 전 대표 ▷상무장관 윌버 로스 전 투자은행 로스차일드 대표 ▷노동장관 앤드루 퍼즈더 'CKE 레스토랑'의 최고경영자 CEO ▷교육장관 벳시 디보스교육활동가 ▷교통장관 일레인 차오 전 노동장관 등이다.
에너지 장관은 릭 페리 전 텍사스 주지사가, 내무장관은 라이언 징크 하원의원(몬태나'공화)이 사실상 내정됐다.
이 중에서도 인선의 최대 파격은 친러시아 성향 석유재벌 틸러슨의 국무장관 발탁이 꼽힌다.
국가안보보좌관과 국방장관, 국토안보장관, CIA국장 등 국내외 안보라인에 강경파 군 출신을 전면 배치하는 대신 외교수장인 국무장관에 외교관이나 정치인 출신이 아니라 경영과 협상에 능한 기업인을 중용함으로써 미국 외교의 변화를 예고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