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저장장치 인프라 구축, 10MW 태양광 발전설비 협약
'대구테크노폴리스(이하 텍폴) 에너지자족도시 조성사업'에 국내 에너지 공기업들의 투자가 잇따르면서 '세계 최초의 100% 에너지자족도시' 실현이 눈앞에 다가오고 있다. 텍폴 에너지자족도시는 외부의 전력 공급 없이 필요한 전력을 텍폴 내에서 100% 자체 생산하는 것이다.
대구시는 13일 한국남동발전과 '에너지 믹스(Energy Mix) 기반 도심형 마이크로그리드 사업'과 '에너지 신산업' 공동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고 밝혔다.
한국남동발전은 국내 발전 용량의 11%를 생산하는 대표적 에너지 공기업이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의무 할당제'(RPS) 적용을 받아 발전량 일부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로 생산해야 한다.
'마이크로그리드'(Micro grid)는 기존의 광역 전력시스템으로부터 독립'제한된 지역 내 전력공급시스템을 뜻한다. 한국남동발전은 앞으로 310억원을 투자해 '태양광'(발전용량 10㎿) 발전설비와 '에너지저장장치'(10㎿h)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달부터 사업대상 조사, 실시 설계, 수용가 모집 등 사업 주관에 들어간다. 대구시는 행정 지원을, 대구테크노파크는 사업 실증에 참여한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향후 정주인구 5만 명의 산업'주거 복합도시인 텍폴을 100㎿ 발전용량의 에너지자족도시로 조성하는 사업의 일환이다. 세부적으로 2021년까지 한국남동발전 20㎿, 한국전력 컨소시엄 60㎿, 에너지 절약사업(지열발전 등 에너지 융복합사업) 20㎿ 등 총 100㎿ 발전설비를 텍폴 내에 자체적으로 갖춘다는 것이 대구시의 구상이다.
앞서 한국전력은 LG CNS, 화성산업, 대성에너지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 총 3천700억원의 민간자본을 투입해 60㎿짜리 연료전지 발전소(2만4천300㎡)를 텍폴에 설립하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해 화제를 모았다. 한전 컨소시엄은 이번 주 중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한국남동발전과의 이번 양해각서 체결이 대구가 청정에너지 선도도시로 부상하는 데 큰 몫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전력 피크대 부하관리 등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과 전국적인 신재생에너지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효과도 기대된다.
대구시 김연창 경제부시장은 "앞으로 신재생에너지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관련 신산업을 육성해 대구를 청정에너지 모범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