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살 김옥균은 1884년 12월 6일 일본으로 망명을 떠났다. 자주독립과 근대국가를 실현하기 위해 일으켰던 거사 '갑신정변'이 3일 만에 실패한 때문이었다. 이틀 전, 그는 박영효, 홍영식, 서재필 등 9명의 동지들과 함께 우정국 개국 축하연을 기회로 정변(쿠데타)을 일으켰다. 조선에 주둔한 청군 3천 명 중 1천500명이 안남(베트남) 전선으로 파병된 후, 프랑스군에게 패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전격적으로 행동에 돌입한 것이다. 일본군 150명도 가담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수구파들을 처단하고, 밤새 혁신정강을 제정하여 공포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세를 살피던 청군이 무력 개입을 시작하며 속수무책으로 붕괴됐다. 일본의 냉대 속에 10년을 보내고, 1894년 다시 상해로 망명을 떠났지만, 수구파 자객 홍종우의 총탄을 맞고 숨을 거뒀다. 역사는 풍운아 김옥균의 '인고의 10년 세월'조차 물거품으로 만들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