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고니 등 철새 접근 막기 위해 하루 두 차례 방역차 이용 소독
경남 창녕군 우포늪에 서식하던 큰고니 사체에서 고병원성 H5N6형 AI 바이러스가 확진됨에 따라 창녕군이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복원 중인 천연기념물(제198호)이자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따오기 보호 특급 작전에 나섰다.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는 지난달 22일부터 생태관을 폐쇄해 일반인 개방을 중단한 데 이어 보호 중인 171마리 중 70마리를 13㎞가량 떨어진 장마면 신구리 야산에 들어선 분산센터로 긴급히 옮겼다.
우포따오기복원센터는 현재 전시 상황에 돌입한 것이나 마찬가지. 만에 하나 따오기가 AI 감염으로 집단폐사하는 최악의 사태에 대비해 복원센터에서 키우는 전체 따오기 중 당장 번식이 가능할 정도의 우성인자를 가진 따오기만을 골라 분산시키는 등 보호조치령을 내린 것이다.
특히 따오기복원센터는 6일부터 AI 감염에 대비해 방역 강도를 경계 단계에서 심각 단계 수준으로 높였다. 하루 두 차례에 걸쳐 방역 차량을 이용한 소독약 살포, 철새의 분변 낙하에 대비해 번식 케이지의 지붕 및 내부 방역 강화, 철새 접근 방지를 위한 애드벌룬과 반짝이 허수아비를 설치하는 등 만전을 기하고 있다.
또 장마면 분산센터 일원에는 철새 접근을 막기 위해 직원들과 주민들이 그물망을 설치하고 새총을 쏘거나 돌팔매질을 하기도 한다. 따오기복원센터나 분산센터 직원들은 전신소독을 하고 출입을 하는가 하면 다른 지역 출장도 자제하고 있다.
지난 1978년 휴전선 비무장지대에서 발견된 이후 자취를 감춘 따오기는 2008년 이명박 전 대통령과 중국의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의 '따오기 외교'를 통해 양저우'룽팅으로 명명된 따오기 부부가 국내로 들어왔다. 2013년 12월에는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 때 시진핑 국가주석의 기증 약속으로 수컷 2마리(바이스'진수이)가 반입됐다.
따오기 부부가 처음으로 중국 시안공항에서 부산 김해공항으로 들어올 당시 경상남도와 창녕군은 8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항공기 한 대를 아예 전세 냈고, 2013년 수컷 2마리가 들어올 때는 2천만원으로 비즈니스석 전석을 빌리는 등 '국빈급' 대우로 한국에 모셔왔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따오기 증식사업을 펴고 있는 창녕군 주민들은 따오기에 대한 자부심만큼 쏟는 정성도 대단하다. 김충식 창녕군수는 "국가적 차원에서 들여온 따오기가 AI에 전염될까 걱정이 돼 요즘 아침마다 따오기에게 문안 인사를 드릴 정도"라고 했다.
현재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는 지난 2008년 따오기 부부를 들여온 이후 꾸준히 개체 수가 늘어나 현재 모두 171마리(수컷 87마리, 암컷 84마리)의 따오기가 보호받고 있다.
엄득봉 우포늪관리사업소장은 "창녕군은 전 행정력을 동원해 AI로부터 따오기 지키기에 나선 상태"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