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DMZ)에는 사향노루와 반달가슴곰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을 비롯,총 4천873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40여 년 동안 비무장지대 생태조사 결과를 종합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분포를 지도화하며 생물종 목록 등을 포함한 'DMZ 일원의 생물다양성 종합보고서'를 9일 발간한다고 8일 밝혔다.
이 종합보고서는 1974년 '비무장지대 인접 지역 종합학술조사' 이후 여러 기관에서 20여 회에 걸친 다양한 조사를 종합,DMZ의 생태적 가치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조사 결과 DMZ 일원에는 식물(1천854종),포유류(43종),조류(266종),양서·파충류(34종),육상곤충(2천189종),담수어류(136종),저서무척추동물(351종) 등 7개 분야 총 4천873종의 야생 동·식물이 사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산양·사향노루·반달가슴곰·수달·붉은박쥐 등 포유류 5종,흑고니·노랑부리백로·저어새 등 조류 9종,수원청개구리(양서류)·흰수마자(담수어류) 등 16종이 서식한다.
특히 두루미,사향노루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우리나라에서 DMZ에서만 사는 것으로 밝혀졌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식물 15종,포유류 6종,조류 34종,육상곤충 3종,양서·파충류 5종,담수어류 10종,저서무척추동물 2종 등 총 75종도 살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바다에 사는 어류,해조류 등은 제외됐다.
DMZ 일원 면적은 1천557㎢로 전체 국토 면적의 1.6%에 불과하다.그렇지만 이번조사 대상인 식물·포유류 등 7개 분야의 종수 4천873종은 같은 분야의 한반도 생물종(2만 4천325종)의 약 20%에 이르고 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7개 분야 222종(전체 246종)의 약 41%인 91종이 이 지역에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특히 조류의 경우 전체 61종의 70.5%인 43종이 살고 있다.
국립생태원 연구진은 DMZ 일원의 생태계 종수가 풍부한 것은 군사시설 보호와 안전상의 이유로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돼 야생 동식물에게 안정적인 서식공간을 제공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이번 조사를 토대로 향후 DMZ 일원의 생물종 현황을 더 정밀하게 데이터베이스(DB)화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