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표결 후 혼란 수습 로드맵…①조기 대선 집중

입력 2016-12-07 04:55:02

②국무총리 교체 ③주도권 쟁탈전

야권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의 9일 의결을 향해 가고 있지만, 물밑에서는 탄핵안 가결 이후 로드맵을 구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국정 공백이 장기화된다면 국정 주도권을 쥔 야권에 화살이 돌아올 것이라는 계산 때문이다.

다만 탄핵 이후 과도내각을 '관리형'으로만 머무르게 하면서 조기 대선에 집중할지, 아니면 탄핵 전에 국무총리를 교체해 적극적인 국가 재정비에 나설지 등에 대해서는 야권 내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있어 이후 진통이 예상된다. 여기에 탄핵 이후 개헌 주장이 본격화하면서 야권 내부의 정계 개편 시도나 주도권 다툼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엿보인다.

더불어민주당 민병두 의원은 이날 "탄핵안이 가결되고 나면 경제부총리를 누구로 임명할지에 대해서는 시급하게 결정해 시장에 시그널을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 당내에는 탄핵 동력에 영향을 줄 수도 있어 드러내놓고 표현할 순 없지만 어떤 방식으로 혼란을 수습할지는 구상을 시작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야권에선 탄핵 이후 들어설 '황교안 대행 체제'에 대한 처리 문제가 시급해 보인다. 야권과 각을 세워 온 황 총리가 '눈엣가시'지만 해결 방안에 대해서는 의견 차이가 있다.

일각에선 황교안 대행 체제를 수용하는 대신 총리의 권한을 최소화하고 '관리형 내각'을 구성해 다음 정권 준비작업에 주력하자는 의견이 나온다. 반대로 총리를 교체해 적극적으로 '국정 개조'에 나서야 한다는 강경파 목소리도 감지된다.

국민의당 정동영 의원은 이날 "공안검사 출신인 황 총리가 역사적 국면의 책임자가 된다는 것은 모욕"이라며 "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국민의당 김동철 비대위원장이 합의하면 총리를 바꿀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