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단축 협상 무작정 거부,협상 주도권 내줘" 내부 비판
'무조건 탄핵' 기조를 유지하며 여야 협상을 거부해 온 야권이 궁지에 몰리고 있다.
2일로 잡았던 탄핵 소추안 의결 계획이 사실상 무산됐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3차 대국민 담화 후 여당 비박(비박근혜)계 내의 기류 변화를 외면한 채 "임기단축 협상은 하지 않겠다"고 강공 일변도로 치닫다가 오히려 스텝이 꼬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탄핵안 부결에 대비한 '플랜B'는 생각하지 않겠다"는 말도 했다. 여기에는 즉각 퇴진을 바라는 민심을 고려하면 탄핵안을 미룰 수 없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또 촛불민심을 의식한 비박계 의원들이 결국 탄핵에 동참할 수밖에 없다는 기대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막상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가 1일 "4월 말 대통령의 퇴임이 결정되면 굳이 탄핵으로 가지 않는 것도 좋겠다"고 하는 등 비박계의 기류가 변했다.
이처럼 탄핵안 추진이 암초에 부딪히자 야권 내에서는 지도부의 전략 부재에 대한 성토가 쏟아졌다. 당내 한 원로인사는 "닭 쫓던 개가 지붕 쳐다보는 모양새가 됐다"고 꼬집었다.
특히 여권이 '4월 퇴진론'을 당론으로 채택하면서 당내에서는 지도부의 공언과는 다르게 여야 간 임기단축 협상에 나설 수밖에 없어졌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이를 거부한 채 9일 탄핵안 투표를 밀어붙여도 여당 비박계에서는 호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오히려 임기단축 협상을 무작정 거부하다 이제는 주도권을 내주고 협상을 벌이게 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병두 의원을 비롯한 당내 중도파 모임 '통합행동'이 이날 여의도 한 호텔에서 진행한 조찬회동에서도 '2일 탄핵 강행' 전략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민주당 한 의원은 "탄핵안 발의가 무산된다면 국민들의 원성이 걷잡을 수 없게 번질 것"이라며 "여든 야든 9일에는 탄핵에 나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