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박 대통령 4월 말 사퇴 시한 밝혀야"

입력 2016-12-01 04:55:01

새누리 비상시국위 "임기 단축 위한 개헌 명분 없어"

30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시국위 대표자
30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시국위 대표자'실무자 연석회의에서 유승민(오른쪽 두 번째) 의원 등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들이 주축을 이룬 비상시국위원회는 30일 박근혜 대통령이 스스로 사퇴 시한을 내년 4월 말로 제시하도록 촉구하면서 임기 단축을 위한 개헌은 명분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박 대통령 탄핵 추진을 강행할 경우 탄핵안 가결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비상시국위는 이날 오전 대표자'실무자 연석회의에서 전날 박 대통령의 제3차 대국민 담화와 관련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고 대변인격인 황영철 의원이 기자들에게 전했다.

비상시국위는 "대통령의 진정성을 확인시켜 주기 위해서라도 대통령 스스로 자진사퇴 시한을 명확히 밝혀줘야 한다"며 "그 시점은 4월 말이 가장 적절할 것"이라고 했다.

이는 지난달 27일 전직 국회의장'원로급 인사들이 제시한 사퇴 시한과 같다. 박 대통령이 4월 말 자진해서 사퇴하면 이로부터 60일 뒤인 6월 말 조기 대선이 치러진다.

비상시국위는 박 대통령이 '임기 단축을 위한 개헌'을 시사한 데 대해선 "대통령의 임기 단축만을 위한 개헌은 명분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이 4월 말로 사퇴 시한을 제시하고 국회가 추천한 거국중립내각 국무총리에게 국정을 맡긴 뒤 2선으로 후퇴, 사퇴할 때까지 국정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의에 참석한 의원들은 "'국회가 룰을 정해달라'는 대통령의 요청은 국회가 이런 결정을 내리지 못하리라는 것을 노린 또 하나의 시간 끌기나 임기를 채우려는 수단으로 볼 수 있다"고 비판했다고 황 의원은 전했다.

비상시국위는 박 대통령 탄핵안 처리의 '마지노선'이 9일 열리는 정기국회 마지막 본회의라고 거듭 밝히면서 "8일 밤까지가 (박 대통령 거취에 대한) 여야의 협상 시한이고, 불발되면 9일 탄핵 절차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각에서 박 대통령의 담화로 비주류의 '탄핵 찬성 대오'가 흔들리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는 데 대해 "탄핵 가결선에 무슨 큰 어려움이 있을 것처럼 얘기하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며 "저희가 파악한 바로는 탄핵 의결정족수는 분명히 확보할 수 있다"고 단언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