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친박, 민심을 거스르지 말라

입력 2016-11-19 04:55:01

새누리당 친박 의원들과 친박 성향의 일부 보수진영의 행동이 심상찮다. 친박 의원들은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로 빚어진 100만 촛불시위에서 드러난 민심을 받아들여 국정 공백의 후유증 최소화보다 자신들의 권력 기반 강화에 악용하려는 반격 의도를 노골화하고 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의 사실상 검찰 수사 거부, 국정 재개 움직임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지금은 일부 보수단체조차 "새누리당을 해체해 건전 보수당으로의 재창당"을 주장하고 있다.

촛불 민심을 왜곡하는 친박 의원들의 반격 현상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역대 최저치 지지 여론에서 보듯 헤어나기 어려운 수렁의 대통령을 위한다는 명분이겠지만 민심만 거스를 뿐이다. 친박계 김진태 의원의 "촛불은 촛불일 뿐이지, 바람이 불면 다 꺼진다. 민심은 언제든 변한다"는 발언이 그렇다. 최순실 사태에 대한 국민 분노를 일시적인 일로 치부하며 이반하는 민심을 애써 외면하고 싶어하는 반성 없는 오만방자한 속내를 그대로 드러냈다.

또 있다. 친박 의원들의 비박 의원들과 야당에 대한 집중포화다. '질서 있는 퇴진'을 외치면서 현 지도부 사퇴를 요구하는 비박계 의원들에게 사퇴를 거부하며 되레 '해당 행위'로 몰아세우고 있다. 비박계 의원 중심의 '비상시국위원회'는 물론 생각이 다른 인사 등에 대한 대공세가 그렇다. 이정현 당 대표와 친박계는 야당에 대해서도 헌법파괴 세력 또는 '좌파' 등 색깔론으로 몰아붙이고 있다. 친박 세력의 결집을 통한 국면 전환을 위한 노림수이다.

이 같은 친박 진영의 반격은 국민은 안중에 없는, 염치를 모르는 오만함 때문이다. 역대 최악의 대통령 지지 여론조차 외면한 탓이다. 게다가 최근 야당의 주도권 장악 실패에 따른 보수진영의 집결 움직임도 한몫을 하고 있다. 실제로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정당 지지도가 되레 떨어지고 문재인 전 대표의 지지도 역시 동반 하락한 결과도 나왔다. 아울러 부산 엘시티 비리를 둘러싼 검찰 수사도 맞물려 친박 진영의 민심과 동떨어진 태도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

19일 전국적으로 또다시 촛불집회가 열린다. 민심은 이미 100만 촛불집회에서 드러났다. 친박 진영은 민심을 정확히 파악하고 받들어 지도부 사퇴와 '질서 있는 대통령 퇴진'을 비롯한 국정 공백 수습책을 고민해야 한다. 그렇잖으면 자칫 사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지금은 정국 안정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