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원 이전 첫 성과…대구·구미 공동 건의문 합의

입력 2016-11-17 04:55:01

9차례 회의 끝에 8개항 도출…이전 사업에 긍정적인 신호

취수원 관련 대구'구미 민관협의회가 16일 정부에 낙동강 수질오염 영향 등 검토를 요청하는 공동 건의문에 합의했다.

'낙동강 수계 수질 보전 대책'을 내용으로 하는 공동 건의문은 지난 3월부터 시작된 민관협의회의 9차례 회의 끝에 도출된 첫 번째 성과로 난항을 겪고 있는 대구 취수원 이전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중앙정부에 제출하는 건의문에는 대구시와 구미시가 내놓은 8개 항목의 건의 사항이 담겼다.

대구시는 ▷구미에서 하루 45만t 취수 시 구미'대구 하류지역 수질에 미치는 영향 ▷수질오염 총량에 미치는 영향 ▷낙동강 중상류 구간의 추가적인 '낙동강 수계 수질 보전 대책' 수립을 건의했다. 구미시는 ▷가뭄이 도래할 경우 유량 부족으로 수질에 미치는 영향 및 수질보전대책 수립 ▷안동댐 하류에서 화학사고 발생 시 오염물질이 구미'대구 취수원에 미치는 영향과 구미에서 방류되는 오염물질이 대구 취수원에 미치는 영향 ▷낙동강 상류의 퇴적층 중금속이 하류의 상수원에 미치는 영향 ▷정부가 대구시 취수원을 이전하지 않고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는 대안 제시 ▷구미취수장을 대구취수장으로 이전'통합 관리하는 방안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건의했다.

건의문은 국무총리실을 비롯해 환경부, 국토교통부에 제출한다.

대구시 관계자는 "오늘까지 9차례나 이어진 논의 끝에 처음 나온 합의안이다"면서 "대구와 구미 측이 건의하고 싶은 궁금증을 모두 담아 중앙정부에 공동 건의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윤종호 구미 민관협의회 위원장은 "낙동강 수질 문제에 대해 정부에 건의해 대구와 구미가 상생하는 방안을 찾겠다는 것이며 이번 합의안이 반드시 취수원 이전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와 구미시가 공동건의문을 제출함에 따라 정부는 추후 대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대구 취수원의 구미 이전을 추진하다 구미시가 강하게 반발하자 두 지자체 간 원만한 합의를 전제로 이전 사업 추진을 잠정 중단했다. 두 도시가 공동건의문을 제출함에 따라 정부는 취수원 이전지 주변을 포함한 낙동강 수계에 대한 환경 조사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