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골목 거닐면 성심당 빵의 향기 더 진한 情의 내음
이름만으로도 수많은 사람들에게 아련한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골목길'. 하지만 불쑥불쑥 솟은 수많은 고층빌딩과 기억하기도 힘든 어려운 이름으로 가득한 아파트들에 밀려 골목길은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그렇기에 기나긴 역사를 간직한 채 여전히 우리 곁에 남아있는 몇몇 골목길은 그 존재만으로도 소중함이 배가된다. '대전 원도심'이라 불리는 대흥'선화'은행'중앙동 일대는 대전 시민에게 추억이 깃든 장소이자, 골목길마다 대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현장 그 자체이다. 특히 대전 원도심은 한국관광공사가 '사람 향기 물씬 나는 골목길을 찾아서'라는 테마로 11월 가볼 만한 곳으로 추천한 장소이기도 하다.
◆대전근현대사전시관
중구 대흥동 일대를 가로지르는 중앙로를 따라 대전역과 마주 보고 있는 대전근현대사전시관은 영화 '변호인'의 법정 장면 촬영장소로 잘 알려진 옛 충남도청(등록문화재 제18호)이다.
80년이 넘는 세월을 한자리에서 버텨낸 대전근현대사전시관 곳곳에는 건물 정면 외관의 스크래치 타일과, 1층과 2층 사이에 배치한 외부 벽체 장식 문양 등 눈여겨볼 것이 많다. 중앙 로비 바닥의 타일 문양과, 천장과 샹들리에를 고정한 지지대 문양, 창과 황동으로 만든 창호 철물 등은 그 자체만으로도 근대 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충분하다.
또 대전근현대사전시관 1층에는 대전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근현대역사관이 있는데 '충남도청사 그리고 대전'을 주제로 공주에 있던 충청남도청의 모습, 대전으로 이전되는 과정 등을 소개하는 기획 전시실이 운영되고 있다.
◆대전 대흥동성당
매일 정오와 오후 7시면 어김없이 대전의 도심 한복판에서는 성당의 종소리가 울려 퍼진다. 종소리의 원천은 바로 지난 1962년 완공 당시 대전에서 가장 높은 건물로 화제가 되기도 한 대흥동 성당.
대흥동성당은 주변에 높은 빌딩이 없었던 1970년대까지만 해도 대전 원도심의 주 무대인 은행동, 대흥동 일대 시내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랜드마크였다. 특히나 하늘을 향해 두 손을 모으고 있는 듯한 형상을 갖추고 있는 성당 건물은 고딕 양식의 적벽돌 구조가 주를 이루었던 당시 성당 건물들과 달리 시멘트 벽돌로 마감해 사뭇 다른 모습을 선보인다. 본당 건물 외벽에 있는 12사도 부조상과 성당 내부에 있는 전국 유명 예술가들이 만든 14개의 스테인드글라스, 예수의 생애를 조각해 놓은 14처 등 작품들은 종교 건물에 문화적 가치를 더한다.
◆옛 산업은행 대전지점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 목척교 방향으로 한동안 걷다 보면 특정 안경점 이름을 달고 있는 독특한 건물을 하나 발견할 수 있다.
지난 1912년 민족자본으로 건립된 한성은행을 인수해 조선식산은행 대전지점으로 1937년 개축한 이 건물은 광복 후 1997년까지 산업은행 대전지점으로 사용됐다.
이후 13m의 단층건물 내부를 2층 구조로 바꾼 것을 제외한다며 그 당시의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는 건물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르네상스풍 신고전주의로 장중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으며, 일제강점기의 전형적인 형태인 좌우 대칭적 외관을 이루고 있다.
대전역 개통과 함께 지어진 지 79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지만 대전역에서 가까운 곳에 자리한 옛 산업은행 대전지점은 원도심에 들어서는 관문이기도 하다.
◆대전 중앙시장
대전 동구 중앙시장은 서울의 남대문시장과도 견줄 수 있을 만큼 중부권 최대 규모를 갖춘 시장이다. 입구부터 출구까지 계획을 잘 세우지 않으면 자칫 길을 잃을 수 있을 만큼 새롭게 단장한 건물들이 모인 커다란 공간이다.
백화점이나 인터넷에서는 구할 수 없는 이미 단종된 전자상품이나 부엌용품 등 없는 것 빼고는 저렴한 물건들이 한가득 있는 시장이다. 화려하게 변신한 대전역과 대전의 대표 도심 은행동 사이에 위치해, 대전역과 가까운 거리 덕분에 대전 시민뿐만 아니라 타지역 여행객들도 빠질 수 없는 여행코스로 인기가 높다.
◆소제동 관사촌
대전역 동광장을 지나 동쪽으로 난 좁은 길을 따라가다 보면 오래된 가옥들이 꼬불꼬불한 길을 따라 옹기종기 모여 있는 모습이 들어온다.
바로 소제동 철도관사촌이다. 이 건축물들은 적들이 만들어 놓은 집, 이른바 '적산(敵産)가옥'이라는 일제강점기의 흔적을 그대로 새기고 있다. 대전역을 중심으로 지어진 관사촌은 북관사촌과 남관사촌이 함께 있었지만 6'25전쟁과 도시화로 대부분 소실됐다. 현재 소제동에 위치한 동관사촌만이 폭격을 피한 건물 40여 채가 아직 남아있다.
특히 현재 남아있는 관사촌 중에서는 규모 면에서 가장 크다는 데 의미가 있다. 1920년대에 형성돼 철도기술자와 노동자들의 숙소로 사용되었으며, 골목의 규모나 형태가 비교적 세련된 모습으로 남아 있다.
◆성심당
지난 1960년 중앙시장으로 위치를 옮기며 제과점의 모습을 갖춘 성심당은 지금의 신관-플라잉팬으로 점포를 이전해 은행동과 대흥동을 연결하는 현재의 위치에 자리하게 됐다. 특히 성심당의 튀김소보로빵은 빵 하나를 먹기 위해 줄을 서는 사람들이 모여드는 진풍경이 벌어지는 효자 상품이다. 기존의 소보로빵과 앙금빵으로 구분됐던 단조로운 빵을 합해 튀긴 것으로, 두 가지 맛을 절묘하게 조화시킨 아이디어가 성공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제 외환위기로 모두가 위축된 시절에도 Bakery Restaurant(베이커리 레스토랑)이라는 신종 마케팅을 국내 최초로 시도해 1층에서 4층에 이르는 빵 전문 매장을 만들어 확장을 시도했고, 1998년 이탈리안 스파게티 전문점 'PIAATTO'가 문을 열어 새로운 식문화를 선보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